대외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제조업이 성장하고 산업구조가 개선되는 것이 우선이라고 봤다
성 장관은 “제조업의 성장기반을 확충하고 산업구조 혁신을 가속할 것”이라며 “제조업과 서비스업 융합으로 산업 전반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민간 투자와 혁신을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일본의 수출규제에 가장 큰 영향을 받은 소재·부품·장비 등 핵심 품목에 정부 예산을 집중 투입하기로 했다.
성 장관은 소재·부품·장비산업의 구체적 지원방안을 놓고 “안보상 수급위험이 크고 주력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큰 100대 품목을 중심으로 공급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수요기업과 공급기업 사이의 협력체계 구축, 실증·양산 테스트베드 확충, 소재부품장비특별법의 전면 개편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최근 세계경제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자국 우선주의와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통상 현안은 무역구조 고도화 등으로 대응한다.
성 장관은 “보호무역주의 등 통상 현안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면서 한국의 무역구조를 고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 자동차 무역확장법 232조,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 등 통상현안과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해 국내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할 것”이라며 “동시에 신남방, 신북방 등 신흥국가와 협력을 가속해 국내 기업의 시장진출 확대 등 실질적 성과를 도출하겠다”고 덧붙였다.
에너지 전환정책에 관해서는 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재생에너지 보급목표와 추가적 석탄발전 감축방안 등 중장기 전원 다양화 방향을 제시했다.
에너지 전환정책을 이어가면서 국내 원자력산업의 활로를 찾는데도 힘을 쓰기로 했다.
성 장관은 “지속가능한 원자력발전 생태계 조성을 위해 원자로 해체나 중소형 원자로 등 유망시장을 창출하겠다”며 “주요국으로부터 원전을 수주하거나 기자재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해 전주기에 걸친 수출을 지원하는 등 보완방안을 이행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박안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