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단통법) 시행 이후 기기변경 가입자는 늘고 번호이동 가입자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가입 유형에 따라 차별을 두지 못하도록 한 단통법 효과라고 평가한다.
기
|
|
|
▲ 단통법 이후 기기변경이 늘고 번호이동이 줄고 있다. |
기변경 가입자가 증가하면서 3대 이동통신회사들의 5:3:2 시장구도는 더욱 고착화할 것으로 보인다.
14일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에 따르면 단통법 시행 전인 지난해 1∼9월 이동통신 3사의 유형별 가입자 비중은 평균 신규가입 34.8%, 번호이동 38.9%, 기기변경 26.2%였다.
번호이동이 가장 많고 기기변경이 가장 적은 형태를 보인 것이다.
그러나 단통법이 시행되면서 이런 형태가 달라졌다.
단통법 시행 첫 달인 지난해 10월 이 비중이 신규가입 36.9%, 번호이동 25.3%, 기기변경 37.8%로 바뀌었다. 번호이동이 줄어들고 기기변경은 늘어난 것이다.
번호이동 가입자 비중은 지난 4월 21.2%로 단통법 시행 후 가장 낮은 수준으 보였고 기기변경 비중은 54.7%에 이르러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신규가입도 24.1%로 줄었다.
이런 추세는 계속 유지되고 있다. 지난 5월 번호이동은 24.2%, 기기변경은 48.9%를 나타냈다. 월별등락은 있지만 전반적으로 번호이동은 줄고 기기변경은 늘고 있는 셈이다.
미래부는 이런 변화를 단통법 효과로 본다.
이통사들이 단통법 이전에 가입자 뺏기 경쟁에 주력하면서 지원금을 번호이동 가입자에게 몰아주다 보니 소비자들이 번호이동을 선택했으나 이제 지원금 경쟁이 사라져 기기변경을 선택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는 것이다.
미래부는 단통법으로 이동통신시장이 안정되면서 데이터 중심 요금제 같은 요금경쟁도 가능할 수 있었다고 분석한다.
기기변경이 늘어나면서 이통3사들은 집토끼를 잡는 데 더욱 주력해 기기변경에 대한 서비스를 더욱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우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