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1월에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면서 보유자산 축소정책 속도도 늦출지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29~30일에 올해 첫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어 1월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한국시각으로 31일 새벽에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사회 의장. |
증권업계의 전망치를 종합해보면 미국 연준이 최근 경기 둔화 우려는 감안해 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하겠다는 기조로 돌아선 만큼 1월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소재용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1월 공개시장위원회에서 금리 동결이 기정사실화되고 있다”며 “유가의 하향 조정 등으로 인플레이션 부담이 낮아지고 있다는 점에서 미국 연준의 통화긴축 명분은 시간이 갈수록 약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29일 미국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연방기금(FF) 금리선물시장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1월 금리동결 확률은 100%로 나타났다.
김일혁 KB증권 연구원은 “미국 연준이 다시 긴축정책을 펼칠 가능성이 낮은 이유는 에스더 조지 캔자스시티 연방은행 총재가 ‘통화정책의 시차’를 언급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통화정책 시차’는 기준금리의 변화가 실물경제와 인플레이션에 온전히 반영될 때까지 상당기간이 걸린다는 내용이다.
김 연구원은 “대표적 매파(통화긴축 선호) 인사로 꼽히는 조지 총재가 ‘통화정책 시차’ 논리를 꺼내며 금리 인상을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발언한 점을 감안하면 미국 연준이 이번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무리하게 기준금리 인상을 꾀할 가능성은 낮다”고 봤다.
시장의 관심은 미국 연준이 보유자산 축소정책에도 변화를 줄지에 몰리고 있다.
미국 연준은 2017년 10월 4조5천억 달러 규모의 보유자산을 3~4년 동안 단계적으로 1조5천억~3조 달러 수준으로 낮추기로 했다. 올해 1월까지 4천억 달러 규모의 자산을 줄였다.
미국 연준의 보유자산을 줄이면 그에 상응하는 시장의 유동성이 줄어들어 통화 긴축효과를 거둘 수 있다.
다만 최근 미국 연준이 경기 둔화 우려를 감안해 금리 인상 속도를 조절한 만큼 보유자산 축소 규모를 줄이고 자산 축소의 종료시점을 앞당길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강승원 NH투자증권 연구원은 “1월 공개시장위원회에서 금리 인상 ‘일시중단’이 재확인될 것으로 보인다”며 “자산 축소와 관련해서도 조건부 정책변경 가능성이 언급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제롬 파월 미국 연준 이사회 의장의 발언에 어떤 내용이 담길지에 따라 미국 연준의 올해 통화정책 방향을 가늠해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연준은 올해부터는 과거와 달리 연방공개시장위원회를 열 때마다 기자회견을 열어 통화정책을 설명하기로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