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희헌 기자 gypsies87@businesspost.co.kr2018-12-17 14:57:30
확대축소
공유하기
최종식 쌍용자동차 대표이사 사장이 대표이사를 한 번 더 맡을 수 있을까?
최 사장이 쌍용차의 내수시장 점유율을 늘리는 데는 성공했지만 최근 2년 가까이 이어지는 적자 고리를 끊어내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임 여부를 불투명하게 내다보는 시각이 늘어나고 있다.
▲ 최종식 쌍용자동차 대표이사 사장.
17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쌍용차의 최대주주인 인도 마힌드라가 쌍용차의 ‘내수시장 성과’와 ‘실적 부진’ 가운데 어느 쪽에 무게를 싣느냐에 따라 최 사장의 대표이사 연임 여부가 판가름날 것으로 전망된다.
최 사장은 2010년에 쌍용차 부사장으로 입사해 글로벌 마케팅본부장과 국내영업본부장, 영업부문장 등을 역임한 뒤 2015년 3월에 처음으로 대표이사에 올랐다.
2017년 3월에 대표이사 연임에 성공해 2019년 3월31일까지 임기를 보장받고 있다.
우선 쌍용차의 내수 판매 성과만 놓고 볼 때 최 사장이 쌍용차 대표이사를 연임할 수 있다고 보는 시각이 적지 않다.
최 사장이 대표이사를 맡는 동안 쌍용차는 국내 자동차시장에서 꾸준히 성장했다.
쌍용차는 2015년에 국내에서 자동차 9만9664대를 팔았다. 2016년과 2017년에도 각각 10만3554대, 10만6677대를 팔아 성장세를 유지했다.
올해 1~11월에는 모두 9만8484대를 팔았는데 이 추세대로라면 올해 내수 판매량이 2017년 내수 판매량을 소폭 웃돌 가능성이 크다.
쌍용차는 올해 ‘내수시장 판매량 3위’ 타이틀도 사실상 따 놨다. 쌍용차는 부동의 1, 2위인 현대차와 기아차 뒤를 잇고 있는데 현재 4위인 한국GM과 누계 판매량에서 1만5천 대가 넘는 격차를 보이고 있어 3위가 확실시된다.
쌍용차가 내수시장에서 판매량 3위에 오르는 것은 2003년 이후 15년 만의 성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하지만 쌍용차의 부진한 실적 때문에 최 사장의 대표이사 연임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는 시선도 많다.
쌍용차는 2017년 1분기부터 2018년 3분기까지 일곱 분기 연속으로 영업손실을 보고 있다.
영업에 비우호적 환율과 신차 투자비용 증가 등 여러 가지 요소가 악재로 작용하고 있는데 수출 부진이 실적 개선의 발목을 잡는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쌍용차는 2017년에 해외에 모두 3만7008대의 자동차를 판매했다. 2016년보다 수출 물량이 29.2% 줄었다. 올해 1~11월 수출 물량도 3만360대에 머무르고 있다. 2017년 같은 기간보다 수출 물량이 9.2% 감소했다.
상장기업 분석업체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쌍용차의 흑자 전환은 2020년에서야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쌍용차 이외에 다른 국내 완성차기업들도 수출에서 고전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수출 부진의 성적표를 최 사장의 경영 실패로 단정하기는 힘들다.
최 사장은 하반기부터 중남미에서 주력 모델인 렉스턴스포츠를 순차적으로 출시하고 있으며 최근 호주에 직영 판매법인을 설립하는 등 해외 판매를 확대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중남미와 호주의 자동차 수요가 크지 않다는 점에서 쌍용차가 해외 판매 부진을 단기간에 끊어내기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쌍용차가 수출에서 성과를 보려면 주요 자동차시장인 미국뿐 아니라 성장성이 높은 러시아 등에 진출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지만 쌍용차는 이런 투자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미래차시장에 뒤늦게 대응하고 있다는 점도 최 사장의 연임에 부정적 영향을 줄 요인으로 꼽힌다.
쌍용차는 대형 세단인 체어맨을 단종한 이후 내연기관 SUV(스포츠유틸리티 차량) 생산에만 주력하고 있다. 2020년에 첫 전기차를 내놓겠다는 목표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지만 글로벌 완성차기업들이 속속 전기차 모델을 내놓으며 빠르게 앞서 나가고 있어 쌍용차가 후발주자로서 충분한 경쟁력을 확보하기 쉽지 않을 수 있다.
쌍용차 관계자는 “최 사장의 연임 여부는 내년 3월에 열릴 이사회에서 결정될 사항”이라며 “자동차산업이 전반적으로 위축되는 어려운 경영환경 속에서도 내수에서 선전하고 있다는 점은 큰 성과”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올해 최 사장이 해고자의 복직 합의를 이끌어내는 등 사회적 책임을 다한 점 등도 연임 여부에 고려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