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종전 선언 문제를 놓고 형식과 시기가 모두 열려있으며 관련국들과 협의해 결정한다는 태도를 내놓았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25일 정례브리핑에서 '정부가 8월 남북미중 4자회담을 통해 종전 선언을 추진하고 있다'는 일부 언론 보도와 관련해 “가급적 조기에 종전 선언이 이뤄졌으면 하는 게 우리 정부의 바람”이라며 “결론이 어떻게 될지는 열려 있으며 형식과 시기 모두 열어놓고 관련국들과 긴밀히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 문재인 대통령(오른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4월27일 정상회담을 마치고 작별인사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김 대변인은 '중국이 종전 선언에 참여하게 되면 협의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종전 선언에 참여하는 당사국들의 자세와 태도에 따라 달려 있다”며 “참여하는 나라들의 의지가 강력하다면 시간이 지체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대답했다.
정부는 남북미 3자 사이에서 종전 선언을 한 뒤 남북미중 4자 사이에서 평화협정을 체결하는 것을 고려해왔지만 중국이 종전 선언 참여에 의욕을 보이고 북한도 이를 지지해 방향을 수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한국일보는 한 외교 전문가를 인용해 “정부가 이르면 8월 안에 남북미중 4자 회담을 통해 종전 선언을 채택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이 보도를 두고 25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정부는 판문점 선언에 명시돼 있듯이 2018년 안에 종전 선언을 이끌어 내겠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며 “가급적 조기에 종전 선언을 할 수 있도록 남북한 및 관련국들과 협의해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4월27일 남북 정상회담에서 발표된 판문점 선언에는 3자 또는 중국을 포함한 4자를 언급해 중국이 종전 선언에 참여할 수 있다는 여지를 뒀다. [비즈니스포스트 강용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