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의 신사옥 건립사업인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건설사업이 마지막 관문을 앞두고 있다.
수도권정비위원회가 글로벌비즈니스센터 건설사업을 진행해도 된다고 판단하면 사업 시공사인 현대건설이 이르면 하반기부터 안정적 수익원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현대자동차그룹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 조감도. |
1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18년도 제2회 수도권정비실무위원회가 열린다.
이날 수도권정비실무위원회의 심의에는 ‘서울시 종전대지(한국전력공사 부지) 이용 계획(재심의)’ 안건이 올라온다.
이 안건은 현대차그룹이 2014년 한국전력공사에게서 사들인 서울 강남구 삼성동 옛 한전부지에 105층 타워 1개 동과 35층 숙박·업무시설 1개 동, 6~9층의 전시·컨벤션·공연장용 건물 3개 동 등 5개 건물을 짓는 글로벌비즈니스센터 건립과 관련한 것이다.
현대차그룹은 글로벌비즈니스센터를 설립해 현대차와 기아차뿐 아니라 그룹의 15개 계열사를 한 데 모은 통합사옥으로 사용하려는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
서울시의 교통영향평가와 환경영향평가 심의를 모두 통과했지만 사업을 진행하기 위한 최종 문턱인 수도권정비위원회를 넘지 못해 사업의 첫 삽을 뜨지 못하고 있다.
현대차그룹과 서울시가 3월에 열린 2018년도 제1회 수도권정비실무위원회에서 지적받았던 사안들을 얼마나 보완했느냐에 따라 심의 결과가 갈릴 것으로 보인다.
수도권정비실무위원회는 3월에 수도권 인규 유입 억제를 위한 구체적 저감방안이 제시되지 않았다는 점을 주요 근거로 들어 안건을 보류했다.
수도권정비실무위원회는 “인구 유발 효과를 재분석하고 인규 유발을 저감할 대책을 제시해야 한다”며 “애초 쓰던 사옥의 관리방안도 구체적 내용으로 보완해야 한다”고 평가했다.
현대차그룹 계열사가 한 곳에 모이는 만큼 인구 유발 효과 등을 면밀하게 조사하고 대응 및 사후관리방안 등을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심의 이전에 공개할 수 없는 사안이라 구체적 내용을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글로벌비즈니스센터 건립 일정이 이미 1년 반가량 늦어지고 있다는 점 등을 감안할 때 현대차그룹이 수도권정비실무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하기 위해 지적사항들을 최대한 수용해 보완했을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그룹과 안건을 조율해온 서울시는 제1회 수도권정비실무위원회에서 위원들의 지적에 대해 “(인구 유입 억제를 위한 구체적 저감방안이) 필요하다면 위원회 의견으로 정해주시면 수용하겠다”는 의견을 보이기도 했다.
현대건설도 수도권정비실무위원회 심의 통과에 기대를 걸고 있다.
사업 규모만 2조6천억 원이 넘는 데다 그룹 물량을 직접 받게 되는 것이라 사업의 좌초 위기 없이 안정적으로 수익을 낼 수 있기 때문이다.
현대건설은 종속회사인 현대엔지니어링과 70대 30의 지분율로 글로벌비즈니스센터 건립사업을 2016년 말에 따냈다. 현대건설의 몫만 1조8천억 원가량이다.
김기룡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글로벌비즈니스센터 조성사업이 건축허가 심의 등을 거쳐 올해 안에 착공되면 현대건설의 매출 확대 기반이 마련돼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글로벌비즈니스센터 조성사업은 3~4년에 걸쳐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부동산대책으로 재건축사업 일감을 따내기 힘들어지는 상황에서 글로벌비즈니스센터 조성사업이 현대건설의 연간 영업이익 1조 원을 유지하는데 보탬이 될 수 있다고 건설업계는 바라본다.
수도권정비실무위원회에서 안건이 의결되면 수도권정비위원회의 본회의와 건축허가 심사 등의 절차를 밟아 이르면 8~10월경에 공사를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건설을 6년 넘게 이끌었던
정수현 전 사장은 현재 현대차그룹 글로벌비즈니스센터 상근고문으로 신사옥 건설에 힘을 보태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