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소비자·유통

조주연, 맥도날드 햄버거병 논란의 판단을 검찰 손에 맡기다

서하나 기자 hana@businesspost.co.kr 2017-11-02 16:41:17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맥도날드 ‘햄버거병’을 둘러싼 논란의 진실규명은 결국 검찰의 손으로 넘어갈 것으로 보인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조주연 한국맥도날드 대표는 최근 국정감사에서 맥도날드 햄버거와 소위 햄버거병이라 불리는 용혈성요독증후군(HUS)의 인과관계를 수긍하기 어렵다고 말하면서 사실상 검찰의 수사결과나 법원의 판단을 기다리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조주연, 맥도날드 햄버거병 논란의 판단을 검찰 손에 맡기다
▲ 조주연 한국맥도날드 대표.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0월31일 국정감사에서 “햄버거병과 관련해 국민에게 공식적으로 사과할 의향이 있느냐”고 질문하자 조 대표는 “검찰수사가 진행 중인 만큼 자세히 말할 수 없다”고 대답했다.

조 대표는 한국소비자보호원의 검사결과를 신뢰할 수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

공식적으로 사과를 하거나 잘못을 시인하게 되면 ‘법정공방’에서 불리해질 수 있다는 셈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한국에서 대기업 식품과 발병 사이 관계가 명확히 밝혀진 사례가 거의 없다”며 “한국맥도날드는 해볼 만한 싸움이라고 판단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맥도날드는 햄버거병과 관련해 어떤 잘못도 인정하지 않고 있다.

10월31일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맥도날드에 패티를 공급하는 회사인 맥키코리아는 최근 2년 동안 패티에서 ‘장출혈성대장균’을 세 차례 검출했다. 장출혈성대장균은 햄버거병의 주된 원인으로 알려졌다.

그런데도 한국맥도날드와 맥키코리아 모두 이 사실을 식품당국에 신고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해 한국맥도날드는 장출혈성대장균이 들어있는 패티를 유통한 책임을 패티 공급회사인 ‘맥키코리아’에 돌리고 있다.

한국맥도날드는 7월 ‘햄버거병’이라는 용어를 놓고도 문제를 제기했다. 햄버거를 먹지 않더라도 ‘햄버거병’에 걸릴 수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는 데도 힘썼다. ‘햄버거병’이라는 이름이 햄버거에 공포스러운 이미지를 주입할 가능성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맥도날드는 원인규명이 필요한 제품을 판매중단하는 데도 적극적이지 않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국맥도날드는 9월3일 전주지역에서 집단장염의 원인으로 꼽힌 ‘불고기버거’의 판매를 중단했다. 하지만 집단장염이 발생한 전주지역 매장 식품안전 검사에서 문제를 발견하지 못했다는 이유를 들며 12일 여 만에 다시 판매를 시작했다.

한국맥도날드 관계자는 당시 “맥도날드 햄버거와 장염발병의 상관관계는 아직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은 상태”라고 말했다.

앞으로 검찰의 수사결과에 시선이 쏠린다.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박종근 부장검사)는 10월18일 한국맥도날드 사무실, 원자재 납품회사 등 모두 네 곳에 수사관을 보내 관련 증거와 자료확보를 시작했다.

다만 검찰은 “한국맥도날드가 명백한 피의자로 입건된 것은 아니다”며 “납품회사의 축산물위생관리법 위반혐의 수사와 함께 압수수색을 진행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맥도날드가 ‘법정’에서 만나야 하는 피해자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7월5일 햄버거병 관련 첫 고소장이 접수된 뒤 현재까지 모두 5명의 피해자가 한국맥도날드를 고소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서하나 기자]

최신기사

결혼 머뭇거리게 하는 깜깜이 '스드메' 비용, 정치권 손질 본격 나선다
LG전자 조주완 'AI 반도체 생태계'서 B2B 먹거리 찾아, 끊겼던 반도체 인연 이어지나
국민의힘 역대 3번째 10%대 지지율, '보수 재기' 발판 이번은 무엇?
'삼비디아' 삼양식품 주가 질주, '불닭 충성' 글로벌 고객들 관세 혼란도 뚫었다
티빙·웨이브 합병 앞두고 커지는 숙제, '케이팝 데몬 헌터스' 모델 내재화 시급
에어인천 아시아나 화물 품고 대형사로 도약, 김관식 내친김에 대한항공과 정면승부
보령 김정균 홀로서기 첫 해, 'CDMO 사업'으로 영업익 2천억 향한다
우미건설 자체 주택사업은 호조, 배영한 외주사업 일감 다변화 박차
'최대 55만원' 소비쿠폰 내일부터 신청, 카드·페이·지역상품권 부가혜택 따져라
HD현대엔솔 정책 순풍에 실적 회복세, 박종환 고효율 태양광 모듈로 글로벌 공략 속도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