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과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이 '1등 금융그룹'을 목표로 하반기에 치열한 영업전쟁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조 회장이 영업력에서 KB금융에 절대 밀리지 말라는 주문을 내놓은 반면 윤 회장은 커진 덩치에 맞는 영업력 강화를 주문하고 있다.
◆ 조용병, 신한금융 영업력 강화 주문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금융지주와 KB금융지주의 실적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
|
|
▲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 |
신한금융지주는 상반기 순이익 기준으로 1등 금융지주 자리를 지켰지만 두 금융지주의 순이익 격차는 289억 원으로 1분기 1270억 원에서 더욱 좁혀졌다.
2분기로만 좁혀보면 KB금융지주가 2년3개월 만에 순이익 규모에서 신한금융지주에 앞섰다.
두 금융지주의 경쟁은 하반기에 영업력 강화를 중심으로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조 회장은 신한금융 비은행부문의 덩치를 키우기에 앞서 영업력 회복 및 강화를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조 회장은 직원들에게 “일회성요인 등으로 2분기 수치에서는 KB금융에 뒤쳐질 수 있지만 영업력에서는 절대 뒤지지 말라”고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한금융투자에게는 수익성 개선을 확인한 뒤에 자본확충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한 것으로 전해졌다.
신한금융의 상반기 실적을 살펴보면 신한카드와 신한금융투자를 제외한 다른 계열사들의 수익성은 오히려 악화됐다.
신한카드는 대손충당금 산출방식 변경에 따른 충당금 환입 2758억 원이 반영됐다. 신한금융투자는 최근 증시호황에 따른 수수료수익 증가가 호실적의 주요요인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영업력을 강화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조 회장이 기존 신한금융의 보수적인 색채를 벗어나 인수합병 및 지분투자 등을 통한 계열사의 외형성장에도 관심을 두고 있지만 그전에 영업력의 중요성을 강조한 이유다.
◆ 윤종규, KB금융지주 전열 재정비 마쳐
윤종규 회장은 KB금융의 외형확대를 통해 빠른 성장세를 이뤄낸 만큼 하반기에는 지주에 편입시킨 계열사들이 자리잡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KB금융은 상반기에 현대증권 통합효과와 KB손해보험 및 KB캐피탈의 완전자회사 편입 등에 힘입어 비은행부문의 비중이 37%로 높아졌다. 1년 동안 12%포인트 급증했다.
은행과 손해보험, 카드, 증권, 캐피탈 등 대부분 계열사가 고른 성장세를 나타내며 안정적 사업포트폴리오를 갖췄다는 평가를 받았다.
|
|
|
▲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겸 KB국민은행장. |
윤 회장은 계열사 다각화와 몸집을 키워 전열을 재정비한 만큼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그에 걸맞은 영업력 강화를 주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업다각화가 이뤄지면서 은행 중심에서 다른 계열사들의 경영활동도 중요해져 정부정책 및 금융환경 변화에 더 빠르고 유연하게 적응할 필요성도 높아졌다는 것이다.
KB국민은행 등은 가계대출과 관련해 정부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점을 감안해 기관영업을 중심으로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올해 초 전라북도 군산시 지자체 금고사업을 따낸 데 이어 7월 초 경찰공무원대출 협약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 한국교육개발원의 공동 주거래은행에도 지정됐다.
◆ 조직피로감 해소도 과제
다만 치열한 1등 금융그룹 경쟁 속에 직원들의 피로감이 누적되고 있다는 점이 선두경쟁에 변수로 작용할 수도 있다.
희망퇴직과 유연근무제 도입 등을 통해 비용절감을 추진하고 직원들의 영업력을 끌어올리는 과정에서 노사갈등을 비롯한 논란이 불거질 수 있다는 것이다.
신한금융지주와 KB금융지주 내부에서는 과도한 영업압박과 관련해 노조의 반발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신한은행은 창구전담직원의 임금을 10% 올리고 업무범위를 확대하기로 했는데 신한은행 창구전담직원들은 높은 업무강도와 실적압박을 우려해 사측에 불만을 표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KB국민은행 노조는 대규모 인력감축 뒤 직원들의 노동시간이 급증했다며 초과근로수당 지급을 요구한 데 이어 개인형퇴직연금(IRP) 신규상품을 사측이 직원들에게 판매 할당량을 내리는 등 과도한 영업압박을 주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신한금융지주와 KB금융지주는 지난해부터 선두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사실상 끌어올릴 수 있는 영업력을 모두 발휘하고 있다는 말도 나온다”며 “선두경쟁이 단기적 사안이 아닌 만큼 중장기적으로 조직의 피로도를 해소하는 지주가 좀 더 우위에 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