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미국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대내외 변수를 감안해 올해 기준금리를 올리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글로벌 투자금융(IB)회사인 JP모건은 “한국은행은 가계부채 증가세를 둔화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부채이자부담을 완화해야 하는 만큼 연말까지는 기준금리가 현 수준에서 유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
|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
가계부채가 1400조 원을 넘는 상황에서 금리를 올릴 경우 가계의 부담이 커져 이제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민간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국내 경기회복세는 주택경기와 반도체·석유화학 등 일부 수출업종이 주도해왔기 때문에 한국은행은 경기상승세가 본격화될 때까지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바꾸는 데 신중할 것으로 JP모건은 파악했다.
일본 투자금융회사인 노무라도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 경로와 주택담보인정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강화에 따른 건설투자 감소 등을 감안하면 한국은행은 내년 하반기에 첫 금리인상을 검토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미국 금리인상 속도는 몇 달전부터 시장에 반영된 이슈인 만큼 급격한 자금유출 등의 위기가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다만 이번 미국 금리인상으로 한-미 금리차가 좁혀진 데 이어 한-미 금리 역전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 만큼 한국은행이 예상보다 이른 시기에 금리를 올릴 가능성도 있다.
미국 기준금리는 1.00%~1.25%로 금리상단이 한국의 기준금리인 1.25%와 같아졌다.
미국 연준이 하반기에 한 차례 금리를 더 올릴 것으로 점쳐지는 만큼 한-미 금리 역전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한-미 금리 역전현상이 나타나게 되면 2007년 8월 이후 10년 만이다. 한-미 금리 역전현상이 나타날 경우 글로벌 자금이 국내에서 빠져나갈 가능성이 있다.
정민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원은 “과거 미국 금리인상 시기를 살펴보면 한국과 미국의 기준금리가 동일한 시점과 이후를 비교하면 시차를 두고 한국은행도 금리를 인상했다”고 설명했다.
1999년 6월30일과 2005년 8월9일 미국 기준금리가 한국 기준금리보다 높아지자 한국은행은 각각 225일과 63일 이후 기준금리를 올렸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도 12일 “앞으로 경제상황이 뚜렷이 개선될 경우 통화정책 완화정도에 조정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하며 금리인상 가능성을 열어뒀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