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오른쪽)이 지난 3월24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권태신 상근부회장과 함께 고개숙여 대국민사과를 하고 있다. |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문재인 정부 아래서 생존을 위해 몸부림치고 있지만 돌파구를 찾기 쉽지 않아 보인다.
박근혜게이트 여파로 주요 대기업 계열사들이 대거 탈퇴한 데다 문재인 대통령이 재벌개혁을 추진하기로 하면서 생존위협이 커졌다.
전경련은 미국의 투자유치 행사참석을 위해 미국에 경제사절단을 보냈다고 18일 밝혔다.
전경련 관계자는 “이번 사절단 파견을 계기로 한미 FTA 재협상, 미국의 보호무역 기조 등 난제를 풀어내는 단초가 마련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전경련은 앞으로도 민간 경제외교 등에 집중하며 기구존립의 명분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내부적으로도 혁신안을 추진하면서 부정적인 이미지를 떨쳐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까지 전경련 ‘경영이사회’에 GS그룹과 롯데그룹, 한진그룹 등 12개사가 참여하기로 했다.
‘경영이사회’는 기업 오너들이 참여하던 전경련 최고 의사결정 기구인 회장단 회의를 폐지하고 신설한 전문경영인들 중심의 의사결정 협의 기구다. 전경련이 투명성 강화, 정경유착 근절이라는 쇄신 목표를 실현하는 데 핵심이 될 기구이기도 하다.
전경련은 당초 20개 사가 참여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하지만 이르면 5월 말 열릴 총회 때까지 목표치를 채우기는 힘들 것으로 관측된다.
전경련은 이름도 한국기업연합회로 바꾸기로 하는 등 혁신의 의지를 보이고 있지만 박근혜 게이트 이후 전경련을 바라보는 여론은 여전히 싸늘하기만 하다.
문 대통령 역시 전경련을 사실상 투명단체 취급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는 대선후보시절부터 전경련을 해체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전경련은 문 대통령의 첫 국정과제인 ‘일자리위원회’에 이름도 올리지 못했다. 경제5단체 맏형으로 불리던 전경련의 입지가 그만큼 추락했다는 방증이다.
새 정부의 재벌개혁이 본격화 될 경우 전경련이 설자리는 더욱 좁아질 수밖에 없다. 전경련은 그동안 재벌들의 입장을 대변해 왔기 때문이다.
전경련은 이전 정권에서는 정부의 경제정책 파트너 역할을 해왔는데 새 정부에서는 이 역할을 대한상공회의소에 뺏긴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대선후보였던 4월에 대한상의를 방문해 “전경련의 시대는 지나갔다”며 “건설적인 협력파트너가 될 수 있는 대한상의와 대화하겠다”고 말했다.
전경련의 재정도 위협받고 있다.
전경련은 재정의 대부분을 담당해온 삼성·현대차·SK·LG 등 4대 대기업 계열사들이 줄줄이 탈퇴하는 바람에 4월부터 2차례에 걸쳐 전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진행하고 임금도 삭감했다. 전경련이 희망퇴직을 진행한 것은 14년 만에 처음이다.
국정농단 사태가 불거진 뒤 전경련을 탈퇴한 기업은 100곳을 넘어선 것으로 전해졌다. [비즈니스포스트 백설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