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담 쉬프 캘리포니아주 연방 상원의원이 지난달 미국 워싱턴 D.C. 미국 의회 의사당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비즈니스포스트] 미국 캘리포니아주가 연방정부에 재난 데이터베이스 폐기 계획을 취소해달라고 요청했다.
13일(현지시각) 로이터는 아담 쉬프 캘리포니아주 연방 상원의원이 하워드 루트닉 상무부 장관과 해양대기청(NOAA)에 서한을 보내 재난 데이터베이스 폐기를 중지해줄 것을 촉구했다고 보도했다.
앞서 해양대기청은 지난주 웹사이트를 통해 "연방정부 우선순위 변화에 따라 수십억 달러의 유지 비용이 드는 날씨 및 기후재해 데이터베이스를 삭제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쉬프 의원은 "법안이 폐지되면 병원, 보험사, 납세자들이 갈수록 빈도가 늘고 있는 자연재해로 인한 비용 증가를 인식할 수 없게 된다"며 "이로 인해 향후 극한 기후 대비책을 세우지 못하게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현재 해양대기청은 이미 대대적 인력 감축으로 인해 당장 다음달부터 시작되는 허리케인 시즌을 앞두고 인력 부족 현상을 겪고 있다"며 "현재 해양대기청 산하 기상청 소속 122개 기상 예보국 가운데 30곳에 수석 기상학자가 없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지금까지 기록된 해양대기청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기후변화로 인한 대형재해 발생 건수는 매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해양대기청은 집계된 피해액이 10억 달러를 넘는 재난을 따로 대형재해로 분류한다.
데이터베이스 기록에 따르면 1980년대만 해도 이와 같은 대형재해 발생 건수는 연평균 10건 아래였으나 2020년대에는 연평균 23건으로 대폭 늘었다. 2024년 한 해만 놓고 보면 대형재해 발생 건수는 27건으로 계속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쉬프 의원은 "데이터베이스는 미국 국민들이 수십억 달러 피해를 유발하는 기후재해들의 표적이 됐다는 것을 나타낸다"며 "연방정부는 국민들에게 기후변화 영향을 속이고 극한 기후 현상으로 인한 인적, 경제적, 환경적 비용을 예방하고 완화하려는 노력을 저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손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