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민영화가 16년 만에 마침내 성공했다.
금융위원회는 13일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공적자금관리위원회를 열고 우리은행 과점주주 매각을 위해 모두 7개곳에 지분 29.7%를 매각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
|
|
▲ 임종룡 금융위원장(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내정자). |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우리은행이 정부 소유 은행이 된지 16년 만에 다시 시장의 품으로, 민간은행으로 돌아가게 됐다”며 “이번 매각이 한국 금융산업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임 위원장은 “예금보험공사가 잔여지분 21.4%를 보유하고 있다고 하지만 이는 공적자금 회수를 위한 보유분으로서 공적자금 관리를 위해 최소한의 역할만 할 것”이라며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잔여지분도 빠른 시일 내에 매각을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지분매각에서 한국투자증권과 키움증권, 한화생명, 동양생명, 미래에셋자산운용, 유진자산운용, IMM 프라이빗에쿼티(PE) 등이 최종 낙찰자로 선정됐다.
매각은 희망수량 경쟁입찰 방식으로 진행됐다. 본입찰에서 예정가격 이상을 써낸 8곳의 후보자 중 높은 가격을 써낸 곳부터 희망지분을 낙찰받는 방식이다.
본입찰 통과 투자자 가운데 1곳은 공적자금위원회의 비가격요소 평가결과 탈락요건에 해당돼 최종 낙찰을 받지 못했다.
지분은 IMM프라이빗에쿼티(6%), 한국투자증권(4%), 키움증권(4%), 한화생명(4%), 동양생명(4%), 유진자산운용(4%), 미래에셋자산운용(3.7%) 순으로 할당됐다.
정부는 12월 중순까지 대금 수령 및 주식 양도절차를 마무리해 매각절차를 마치기로 했다.
이번 우리은행 지분 매각으로 공적자금 약 2조4천억 원이 회수된다. 정부는 현재까지 우리은행에 공적자금 12조8천억 원을 투입했는데 이번 회수액을 포함해 모두 10조6천억 원(회수율 83.4%)을 회수하게 됐다.
우리은행의 전신은 IMF(국제통화기금) 외환위기 이후 부실화된 상업은행과 한일은행이 합병해 탄생한 한빛은행이다.
2001년 한빛은행이 예금보험공사가 설립한 우리금융지주에 편입되면서 정부 소유 은행이 됐다.
정부는 공적자금 회수를 위해 2010년부터 우리은행 매각을 시도했지만 대규모 지분을 한번에 매입하려는 투자자를 찾지 못해 네차례나 실패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