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업무존(8만8557㎡)에는 100층 안팎의 빌딩과 금융 및 정보통신기술(ICT)기업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사무용 건물과 마이스(MICE), 호텔, 광역환승센터 등이 들어선다. 최고층 빌딩 최상층에는 전망시설 등 복합놀이공간이 조성된다.
주변 업무복합존과 업무지원존으로 갈수록 건축물이 낮아지게 조성된다. 업무복합존과 업무지원존은 일반상업지역 등으로 평균 용적률 900% 수준이 적용된다.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업무복합존(10만4905㎡)에는 용산전자상가, 현대R&D센터와 연계한 업무 및 기업지원시설이 입주한다.
업무지원존(9만5239㎡)에는 국제업무존과 업무복합존의 배후지로서 주거·교육·문화 등의 지원시설이 들어선다.
서울시는 용산국제업무지구 전체 면적의 100%가 넘는 50㎡ 부지에 녹지를 확보한다.
구역면적의 20%는 도시계획시설로 공원과 녹지를, 30%는 민간의 공개공지 등을 활용한 개방형 녹지가 들어선다. 나머지 50% 안팎은 건물 테라스나 옥상, 벽면녹화 등을 통해 녹지가 조성된다.
특히 용산역 남측 선로상부에 조성되는 8만㎡의 대규모 공중녹지(그린스퀘어)는 한강공원과 용산역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입체공원이자 지구를 대표하는 상징적 공간으로 마련된다.
서울시는 용산국제업무지구를 환경 및 교통분야의 최첨단 기술을 도입한 ‘탄소배출 제로(0)’지구로 운영한다는 구상도 세웠다.
서울시는 스마트교통수단 도입, 용산역 기점 공항철도 신설 등을 통해 용산지역 대중교통수단분담률을 현재 57%에서 7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 밖에 자율주행셔틀이나 도심항공교통(UAM) 등을 도입하고 내연기관차 운행의 단계적 제한,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확충 등도 추진한다.
또 용산국제업무지구에는 서울시가 현재 추진하고 있는 ‘제로에너지건축(ZEB) 계획’보다 더 상향된 에너지 자립목표가 설정된다.
용산국제업무지구는 2035년 제로에너지건축 2등급, 2050년 제로에너지건축 1등급 달성을 목표로 한다. 현재 서울시의 제로에너지건축 계획은 2035년 민간건축물의 제로에너지건축 3등급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용산국제업무지구에는 지역단위의 도시개발 친환경·저탄소 평가인증체계인 ‘서울형 LEED’가 처음으로 적용된다.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은 기반시설부터 개별 건축물 공사까지 장기간이 걸리는 대규모 프로젝트인 만큼 단계적 개발이 가능하도록 격자형 도로망과 방사형 공원녹지 체계로 계획됐다. 또 창의적 복합개발이 가능하도록 유연한 토지이용계획도 포함됐다.
서울시는 용산국제업무지구의 안정적 사업 추진을 위해 사업시행자와 획지를 개발하는 민간사업자 모두에게 개발이익을 적정배분하는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특히 사업의 공익성을 담보하기 위해 공공기관인 코레일과 SH공사를 사업시행 예정자로 선정한 뒤 이들에게 충분한 기반시설을 조성하도록 했다.
서울시는 올해 상반기 안으로 도시개발구역 지정, 개발계획을 고시하고 내년 실시계획인가를 거쳐 2028년까지 기반시설 조성을 마무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국제 비즈니스 허브이자 지속가능한 도시의 미래상을 담아낼 용산국제업무지구가 구도심 대규모 융복합 및 고밀개발의 세계적 표준이 되도록 모든 행정 역량과 자원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