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정부의 주택공급 활성화대책이 공급확대와 건설사들의 유동성 위험 경감 측면에서 긍정적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다만 부동산경기가 개선되지 않으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전망됐다.
▲ 정부의 주택공급 활성화대책이 공급확대와 건설사들의 유동성 위험 경감 측면에서 긍정적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다만 부동산경기가 개선되지 않으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전망됐다. 사진은 서울 아파트단지 모습. <연합뉴스>
배세호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27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주택공급 활성화방안은 공급물량 확보와 효율성 강화를 통해 270만 호 인허가 정책의 속도감을 높이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우려를 줄인다는 측면에서 분명 긍정적”이라며서도 “다만 수요 활성화에 관한 대책은 없어 근본적 부동산경기 활성화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현재 부동산시장은 서울 및 일부 수도권지역에서 아파트값과 청약경쟁률이 상승하고 매매량이 중가하면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비수도권지역의 상황은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전국 착공물량은 8월 누계로 2022년 같은 기간보다 56.4%, 인허가는 38.8% 감소했다. 부동산R114 집계 기준 분양물량은 9월 말 기준 12만6천 세대로 2022년 같은 기간보다 50% 줄었다.
주거시설뿐 아니라 물류센터, 지식산업센터 등의 신규착공 부진, 공실률 상승 문제도 부동산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배 연구원은 바라봤다.
이번 활성화대책에 담긴 프로젝트파이낸싱 대출의 보증한도 확대 등 방안은 단기적으로 부실 사업장의 디폴트(채무불이행) 리스크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겠지만 부실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기는 어렵다고 봤다.
배 연구원은 세제 감면 등 수요 촉진방안이 포함되지 않은 점도 이번 대책의 효과에 관한 기대를 약화시킨다고 덧붙였다.
김승준 하나증권 연구원도 이번 주택공급 활성화대책이 효과를 발휘하려면 사업성이 나오는 환경이 마련돼야 한다고 봤다.
김 연구원은 “공공주택 및 신규택지 물량확대 등 이번 정책들은 사업성이 있을 때 빠르게 착공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준비를 해준 것이다”며 “이제 부동산개발비용이 감소하거나 가격을 높여서 판매해도 사줄 수 있는 시장, 즉 적당한 시세상승이 나오기를 기다려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박영도 다올투자증권 연구원도 이번 대책이 공급물량과 인허가 확대로 공급위축 우려를 불식하는 데 집중했다고 평가했다.
박 연구원은 “대책 내용에 시행사, 건설업계의 요구사항을 다수 반영하면서 공급을 재개하라는 의도를 보이고 있다”면서도 “택지 전매제한 안화, 건설인력 확충 등은 부차적 문제일뿐 현실적으로 사업수지 개선 없이는 공급 재개가 어렵다”고 짚었다.
박 연구원은 공급감소의 원인이 사업수지 약화에 따른 자금시장 경색에 있다고 봤다.
이에 주택도시보증공사(HUG)와 한국주택금융공사(HIF)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 대출 보증을 실제 얼마나 확대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라고 바라봤다.
다올투자증권에 따르면 현재 부동산시장에서 만기연장으로 버티고 있는 브릿지론 규모는 약 30조 원으로 추산된다. 이를 본 프로젝트파이낸싱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브릿지론의 약 2배 규모인 60조 원 안팎의 자금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박 연구원은 “기관들의 프로젝트파이낸싱 보증이 제대로 이뤄진다면 건설업계에 유의미한 도움이 될 수 있다”며 “다만 해당 기관들이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등에서 이미 상당한 규모의 대위변제 부담을 안고 있어 더 위험도가 높은 프로젝트파이낸싱을 얼마나 낮은 허들로 제공할 수 있을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