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들이 저금리 영향으로 순이익이 향후 5년 동안 40% 줄어들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조재린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15일 서울 중구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제41회 보험 CEO 및 경영인 조찬회’에서 “보험사들이 2015년에 거둔 순이익을 1이라고 가정할 경우 2020년 순이익은 0.6으로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
|
|
▲ 조재린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이 15일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보험 CEO 및 경영인 조찬회'에서 주제발표하고 있다. |
조 연구위원은 “현재의 계리적 가정과 시장금리가 유지된다고 보면 향후 이자율 차이에 따른 손실이 발생하면서 보험회사들의 세전손익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보험사들이 저금리로 역마진 손실을 입고 있는 데다 주요 투자자산인 채권운용이익도 시장금리 하락으로 줄어들고 있어 전반적인 수익 감소를 피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역마진은 보험사에서 고객에게 받는 보험료보다 더 많은 보험금을 돌려줘 손실을 입는 것을 말한다.
조 연구위원은 “보험사들이 금리연동형 상품을 늘리고 있지만 금리확정형 부채의 비중이 여전히 높다”며 “금리연동형 상품도 공시이율보다 최저보증이율이 높은 계약이 많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보험사들은 1990년대에 높은 운용자산이익률을 기반으로 연 5% 이상의 고금리 확정이율 장기보험상품을 대량판매했다. 그러나 저금리가 장기화되면서 보험회사들은 1분기 기준으로 평균 운용자산이익률 3.9%를 기록하는 데 그쳤다.
보험사들이 주로 투자하는 채권인 국고채 10년물 금리의 경우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브렉시트) 결정의 여파로 역대 최저 수준인 1.3%대까지 떨어졌다.
보험사들은 주력 보험상품의 최저보증이율을 대부분 1.5%로 잡고 있는데 지금 상황에서는 채권 등에 투자해 얻은 이익보다 더 많은 보험금을 고객에게 돌려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조 연구위원은 “일본, 대만, 독일 등 한국과 비슷한 과정을 겪은 국가들은 보험사에서 역마진에 대비해 책임준비금을 추가로 적립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했다”며 “가격자유화와 해외투자규제 완화 등 책임준비금 재원 확보를 돕는 정책들도 시행됐다”고 설명했다.
조 연구위원은 국제회계기준(IFRS4) 2단계 도입에 따른 신지급여력(RBC)제도도 점진적으로 도입해 연착륙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제회계기준 2단계과 신지급여력제도는 보험사에서 보험금 지급에 대비한 책임준비금을 계산할 때 보험계약 당시의 금리 대신 시가(현재 시점의 시장금리)를 적용하는 내용을 뼈대로 하고 있다.
가령 현재 시장금리가 1%고 보험계약을 체결할 때 금리가 10%면 보험사는 이전보다 9%포인트만큼 책임준비금을 더 쌓아야 한다.
보험사들은 국제회계기준 2단계과 신지급여력제도를 적용하면 책임준비금을 최대 수십조 원까지 추가로 적립해야 할 것으로 추산된다.
유럽의 경우 신지급여력제도와 비슷한 내용을 담은 회계기준 ‘솔벤시Ⅱ’를 2016년 1월에 도입했는데 2001년부터 16년간 이 제도에 대한 영향평가를 진행했다. 보험사들은 그동안 자본을 확충하고 주력 판매상품도 변경해 회계기준 강화에 대비할 수 있었다.
조 연구위원은 “저금리에 따른 부채가치의 증가로 보험사들은 자기자본을 상당한 규모로 확충해야 하는데 신지급여력제도가 너무 이르게 도입되면 시장에 혼란을 가져올 것”이라며 “신지급여력제도 시행시기와 경과조치 등을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