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추진하는 에너지산업 구조개편의 수혜를 어떤 기업이 볼까?
정부는 전력시장을 민간에 개방하고 에너지신산업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는 등 전반적인 에너지산업의 틀을 새로 짜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에너시사업에서 한국전력의 독점적 지위가 흔들리는 것으로 큰 변화가 예상된다.
|
|
|
▲ (왼쪽부터) 유정준 SKE&S 사장, 하영봉 GS에너지 사장, 정지택 두산중공업 부회장. |
신지윤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6일 “에너지산업에 민간의 활동영역이 넓어진다는 큰 그림에서 민자발전과 망사업, 에너지저장장치(ESS), 액화천연가스(LNG) 직도입, 자원개발까지 전력 가치사슬을 보유한 SK그룹과 비슷한 사업을 하고 있는 GS그룹에 관심을 쏟을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정부는 최근 한국전력이 독점하고 있는 전력판매분야 규제를 완화한 뒤 단계적으로 민간에 개방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민간발전시장에 이미 진출해 사업하고 있는 SK그룹과 GS그룹이 장기적으로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된다.
SK그룹에서 SKE&S가 전력사업을 도맡고 있다. SKE&S는 액화천연가스(LNG) 복합화력발전소 등을 통해 광양 등에서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또 현재까지 모두 5개 지역에서 집단에너지사업권을 확보했으며 해외자회사를 통해 직접 자원개발도 하고 있다.
GS그룹도 에너지부문을 총괄하는 중간지주사인 GS에너지를 통해 민자발전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GS그룹은 GSEPS, GSE&R, GS파워 등을 통해 화력발전과 집단에너지사업, 신재생에너지사업 등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에너지신산업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는 측면에서 두산중공업도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5일 2020년까지 에너지신산업에 모두 42조 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신재생에너지에 33조 원, 에너지저장장치(ESS)에 4조5천억 원, 스마트미터에 2조5천억 원, 친환경발전에 2조 원 등이다.
두산중공업은 원자력발전과 석탄화력발전 등 전통적 발전설비 부문에서 역량을 다져왔다. 두산중공업은 해외 에너지산업이 빠르게 변화하는데 발맞춰 지난해 에너지저장장치(ESS)시장에 뛰어들었다.
두산중공업은 에너지저장장치사업에 뛰어든지 두 달 만에 한국스마트그리드사업단이 주관하는 사업의 ESS분야 주관사업자로 선정됐다. 또 전력거래소와 대용량 ESS용 주기기 공급계약을 체결하는 성과를 내는 등 에너지신산업분야에서 보폭을 넓히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에너지산업 구조개편 작업은 다소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신 연구원은 공공부채 관리와 재정수입이 필요한 정부가 한국전력의 이익을 크게 훼손하면서까지 에너지산업 구조개편을 급하게 진행할 가능성이 낮다고 봤다.
한국전력 지분은 산업은행이 32.9%를 보유해 최대주주에 올라있고 정부가 18.2%를 소유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남희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