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이 모두 채권단 관리를 받는 운명을 맞았다.
한진해운의 자율협약 신청이 받아들여지면 한진해운도 현대상선에 이어 강력한 구조조정에 들어가게 된다.
두 회사의 운명은 백척간두에 섰다.
◆ 두 회사 각각 생존하나
25일 업계에 따르면 26일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주재하는 ‘산업·기업 구조조정협의체’가 열린다. 이 자리에서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의 처리 방안이 주로 다뤄질 것으로 알려졌다.
|
|
|
▲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
최상의 시나리오는 두 회사 모두 각각의 절차를 밟아 생존하는 것이다.
자율협약의 조건인 용선료 인하협상이 차질없이 이뤄지고 추가 자구노력이 이행될 경우 채권단과 전문경영인이 중심이 돼 회사의 경영정상화를 추진하는 방안이다.
현대상선은 늦어도 5월 안에 용선료 협상결과를 내놓을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22개 선주와 개별적으로 상담을 진행하고 있는데 상당한 진전을 보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진해운은 25일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의 경영권 포기 각서와 함께 용선료 인하 계획 등을 포함한 자구계획안를 냈다. 앞으로 한진해운도 용선료 인하협상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자율협약이 예정대로 진행되면 출자전환을 통해 두 회사가 모두 산업은행의 자회사로 편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산업은행이 두 회사를 합병한 뒤 사업구조를 재편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두 회사의 겹치는 사업영역과 노선 등을 정리해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이다.
◆ 둘 중에 하나만 살릴까?
한진해운과 현대상선 가운데 한 곳만 살릴 가능성도 높다.
두 회사 가운데 경쟁력을 갖추고 생존 가능성이 높은 회사에 지원을 집중하고 나머지 한 곳은 법정관리를 받도록 하는 것이다.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이 당장의 유동성 위기를 넘기더라도 생존을 고민해야 하는 상황에 처해 있다는 점에서 두 회사 가운데 하나만 살리는 방안에 힘이 실리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지금과 같이 국내 해운사가 경쟁력을 상실한 상황에서 각각 경영정상화에 성공했다 하더라도 물동량 감소, 공급과잉, 운임 하락이라는 외부 환경은 변함이 없다”며 “결국 지금과 같이 대규모 손실이 이어지면서 자본이 줄고 차입금이 점점 늘어나는 악순환을 되풀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은 최근 몇년 동안 부채비율을 낮추는 과정에서 주요 자산을 계속 매각했다. 이 때문에 경쟁력이 크게 약화됐다.
글로벌 해운사들이 초대형 선박을 늘리면서 비용 절감에 힘쓰는 동안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은 투자 여력이 없어 초대형 선박을 갖추지 못했다.
해운업황 회복도 장담하기 어렵다.
해운업은 항상 일정하게 호황과 불황을 오가는 탓에 사이클 산업으로 불렸다. 그러나 2008년 이후 7년 넘게 불황이 이어지면서 이런 사이클도 무너졌다.
◆ 법정관리 이후 합병 가능성도
두 회사 모두 법정관리에 들어갈 가능성도 점쳐진다.
팬오션은 2013년에 법정관리에 들어간 뒤 법정관리를 통해 부채비율을 200%로 낮췄다. 그 뒤 하림그룹에 인수됐다.
|
|
|
▲ 임종룡 금융위원장. |
그러나 두 회사가 법정관리에 들어갈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벌크선 위주의 팬오션과 달리 컨테이너 선사가 법정관리에 들어갈 경우 해운동맹에서 퇴출되기 때문이다.
글로벌 선사들은 해운동맹을 통해 선박과 항구 운영 등을 공동으로 진행하면서 운영 비용을 절감한다. 동맹에서 퇴출되면 사실상 업계에서 퇴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부도 컨테이너 선사가 법정관리에 들어가면 해운동맹에서 퇴출된다는 점을 고려해 법정관리를 염두에 두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글로벌 해운동맹이 아예 재편되면서 해운동맹에 대해 크게 우려할 필요가 없다는 시각도 일각에서 나온다.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은 세계 4대 해운동맹에 포함됐던 CKYHE와 G6에 속해 있으나 이들 동맹이 사실상 붕괴되면서 새로운 동맹을 찾아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두 회사가 법정관리를 통해 체질을 확실히 개선한 뒤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해운동맹에 다시 가입하는 방안도 있다”며 “해운동맹의 경우 선사 간 신뢰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정부가 지원해 줄 경우 가입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법정관리를 통해 두 회사의 부실을 털어낸 뒤 합병하는 방안도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을 합병해도 기대한 만큼의 시너지를 누릴 수 없을 것이란 지적도 계속 나오고 있다.
업계의 한 전문가는 “두 회사가 하나로 통합되면 그동안 각각 구축해온 해외 영업망이 붕괴돼 화물량이 통합 전 수준에 미치지 못할 수 있다”며 “국적 선사가 줄어들면 외국선사에 가격 주도권을 빼앗길 수도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은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