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경제에서 무역의존도가 크게 낮아졌다. 지난해 수출입 규모가 대폭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1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총소득(GNI) 대비 수출입 비율은 88.1%로 집계됐다. 2014년 98.6%보다 10.5% 포인트 떨어졌다.
|
|
|
▲ 컨테이너선이 수출을 위한 컨테이너를 싣고 이동하는 모습. |
이 통계는 우리나라 경제의 무역의존도를 나타낸다. 지난해 국민총소득 기준으로 무역의존도는 2007년 81.6% 이후 8년 만에 최저치다.
무역의존도는 그동안 한국의 수출규모가 커지면서 상승세를 나타냈다. 2000년대 초중반 60∼70%대를 기록하다 2007년에 처음으로 80%를 넘어섰다.
우리나라 경제의 무역의존도는 2012년부터는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1년 113.5%, 2012년 112.8%, 2013년 106.1%, 2014년 98.6%에 이어 지난해 88.1%로 4년 연속 떨어졌다.
그래도 우리나라의 무역의존도는 여전히 30%대인 일본, 미국 등 주요 선진국보다 높은 편이다.
이에 따라 그동안 내수시장을 활성화해 무역의존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무역의존도가 높다는 것은 글로벌 경제에 그만큼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무역의존도가 낮아진 것은 바람직하지만 지난해 무역의존도의 하락은 내수시장 확대보다 수출감소에서 비롯됐다는 점이 문제로 꼽힌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내수와 수출이 함께 확대되면서 무역의존도가 낮아지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이라며 "현재 우리나라는 수출감소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좋지 않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의 상품 수출액은 5488억 달러로 전년보다 10.5% 줄었고 상품 수입액은 4285억 달러로 18.2% 급감했다.
올해도 수출 전망이 어두워 무역의존도는 더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1∼3월 수출액(통관기준) 잠정치는 1160억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1% 줄었고 수입액도 936억 달러로 16.3% 감소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백설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