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발 요소수 수급문제가 장기화 조짐을 보이면서 택배업계가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번 요소수 품귀현상을 계기로 택배업계가 전기차량 등 친환경차량으로 전환을 서두를 수 있다는 시선도 나온다.
▲ 5일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부산신항 웅동 배후단지 주변에 마련된 요소수 판매 노점상에서 화물트럭들이 요소수를 넣기 위해 길게 줄을 서 있다. <연합뉴스> |
7일 택배업계 안팎의 말을 종합하면 최근 요소수 수급문제가 단기간에 택배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지만 장기화하면 물류 대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의견이 많다.
요소수는 경유 차량에서 발생하는 발암물질인 질소 산화물을 물과 질소로 바꿔주는 성분으로 트럭 등에 의무 장착하는 질소산화물 저감장치(SCR)에 들어가는 필수물품이다.
최근 중국이 요소수 원료인 요소의 수출검사 의무화조치를 통해 사실상 수출을 제한하면서 국내에서 수급이 어려워졌다.
요소수는 석탄이나 천연가스에서 뽑아내는 요소(암모니아)를 수입해 증류수를 섞어 만드는 것으로 만드는 방법은 어렵지 않지만 물량의 97%가량을 중국에서 수입할 정도로 중국 의존도가 높다.
택배업계는 소비자에게 물품을 직접 전달하는 현장에서 주로 1톤 미만의 소형트럭이 쓰이는 만큼 요소수 품귀현상으로 당장 물류대란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
CJ대한통운 관계자는 “택배트럭의 요소수 교체 주기가 생각보다 길고 하루에 운행하는 거리가 그리 길지 않아 타격이 단기간으로는 크지는 않을 것이다”고 말했다.
하지만 한 달에 1번 정도 요소수를 넣는 소형트럭과 달리 5톤 이상의 대형트럭들은 이미 요소수 공급부족으로 운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형트럭은 짧으면 이틀, 길어도 일주일에 1번은 요소수를 보충해줘야 할 정도로 요소수 수요가 많다.
대형화물차가 물류 터미널을 오가며 물품을 옮기고 소형트럭이 각 지역거점이나 각 가정에 배송하는 택배업계의 상황을 고려했을 때 대형트럭들의 운송이 중단돼 물류대란이 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요소수 품귀현상이 장기화한다면 소형트럭의 요소수 공급 또한 장담할 수 없다.
택배업계에서는 이번 요소수 대란을 계기로 전기차량 등 친환경차량으로의 전환이 빠르게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CJ대한통운과 롯데글로벌로지스, 한진 등 택배업계는 친환경을 강조하는 사회 분위기에 발맞춰 전기차를 시범적으로 도입해 운행하고 있다.
CJ대한통운은 2016년 택배업계에서 가장 먼저 제주도에 전기화물차 2대를 도입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4대를, 올해 5월에는 전기화물차 13대를 도입했다. 올해 말까지 추가로 14대를 도입해 모두 34대를 운영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롯데글로벌로지스는 2019년부터 전기화물차를 도입해 현재 모두 24대의 전기택배차량을 운영하고 있다.
한진은 지난해 12월부터 3달 동안 제주도에서 전기·하이브리드 차량을 시범운행했으며 현재 차량 교체를 위한 세부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특히 택배차량이 대부분 택배업체들이 소유한 형태가 아닌 위탁이나 수탁 형태로 운행돼 전기차 전환을 강제하기 어려웠지만 요소수 품귀현상에 택배노동자들이 위기를 느껴 자발적으로 전기차 전환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여전히 전기차 충전인프라가 잘 갖춰지지 않아 전기화물차로 전환이 쉽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또 대형트럭은 출력 등의 문제로 전기차로 전환하기 어려워 수소전기트럭으로 전환해야하는데 수소전기트럭은 아직 걸음마 단계다.
수수전기트럭을 양산하는 자동차기업은 아직 세계에서 현대자동차 한 곳 뿐이다.
국내에 설치된 수소충전소는 아직 80여 곳에 불과하다. 이마저도 10여 곳은 설치 허가를 받고 공사 중이거나 아직 완공이 되지 않아 실제 사용할 수 있는 곳은 70여 곳에 그친다.
정부는 요소수 품귀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7일 정부 합동으로 요소수 품귀사태와 반도체 정보 제공 문제를 논의하는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를 열었다.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이 자리에서 ”긴급 대응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서 적극 대책을 마련해 나가겠다”며 “제3국으로부터의 수입 등 가능한 대책이 필요한지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지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