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도영 기자 doyoung@businesspost.co.kr2021-10-05 15:15:18
확대축소
공유하기
DGB대구은행이 개인형퇴직연금(IRP)의 은행권 최고 수익률에 더해 수수료 면제까지 꺼내들면서 고객 유인을 극대화하고 있다.
임성훈 DGB대구은행장은 당장의 이익보다 고객 수를 늘리는 데 집중해 수도권으로의 영토 확장을 가속화하려 하고 있다.
▲ 임성훈 DGB대구은행장.
5일 DGB대구은행에 따르면 큰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개인형퇴직연금시장에서 수도권 확장을 위한 기회를 잡으려고 하고 있다.
개인형퇴직연금은 근로자가 퇴직금을 본인 명의의 퇴직계좌에 적립해 연금 등 노후자금으로 활용하는 제도다. 퇴직하지 않아도 개설이 가능하며 예금·펀드·채권·주가연계증권(ELS) 등 다양한 상품에 투자가 가능하다.
DGB대구은행은 1일 비대면 개인형퇴직연금에 가입하는 신규고객을 대상으로 수수료 전액 면제를 시작했다. 개인형퇴직연금 수수료를 없앤 두 번째 은행인데 최초는 8월 수수료를 없앤 BNK금융지주의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이었다.
개인형퇴직연금은 대표적 장기투자상품이기 때문에 수수료 면제로 고객의 실질수익률을 높이면 당장은 차이가 작을지라도 장기적으로는 큰 수익률의 차이를 만들게 된다.
수수료수익을 포기하는 것은 당장의 수익을 포기하더라도 확실한 실질수익률로 고객을 확보하는 데 최우선으로 집중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개인형퇴직연금 적립규모가 훨씬 큰 대형은행들이 이러한 결정을 내리기 쉽지 않은 상황에서 고객 확보에 공격적으로 나서려는 임성훈 행장의 결단으로 볼 수 있다.
DGB대구은행은 개인형퇴직연금에서 이미 직전 3분기 연속 은행권 최고 수익률을 보였음에도 수수료 면제를 통해 확실한 수익률 우위를 내세워 고객을 유인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DGB대구은행은 2021년 2분기 기준 개인형퇴직연금 1년 수익률이 6.24%를 보여 3분기 연속 은행권 1위를 차지해 모든 은행의 수익률 평균보다 2.23% 높았다. 2020년 4분기 3.99%, 2021년 1분기 7.6%에 이은 것이었다.
개인형퇴직연금이 장기투자상품인 만큼 연수익률의 작은 차이도 나중에 큰 차이로 나타나기 때문에 수익률 강점은 고객확보에 가장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로 평가된다.
DGB대구은행 관계자는 “높은 수익률의 배경에는 차별화된 다양한 상품운용방안과 양질의 시스템 도입이 뒷받침됐다”고 설명했다. DGB대구은행은 다각화된 포트폴리오를 운용수익 비결로 내세우고 있다.
DGB대구은행의 2021년 상반기 개인형퇴직연금 적립금 규모는 1906억 원으로 적립금 규모 1위인 신한은행과 비교해 3% 수준에 불과하다.
임 행장이 앞으로도 수익률 강점을 이어갈 수 있다면 고령화 등에 따른 개인형퇴직연금 성장세를 타고 DGB대구은행의 영토를 늘려나갈 수 있다.
개인형퇴직연금시장은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고령화에 따라 연금 수요가 늘면서 퇴직연금 시장이 커지고 있는데 특히 DB형과 DC형 대신 개인형퇴직연금 규모가 급격히 커지고 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2021년 상반기 은행업권 개인형퇴직연금 총잔액은 27조7946억 원으로 지난해 말과 비교해 반기 만에 16.5% 증가했다.
퇴직연금시장 전체에서 개인형퇴직연금시장이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해 말 18.3%에서 올해 상반기 20.6%로 상승하며 반기 만에 2.3%포인트 늘었다.
임성훈 행장은 지난해 10월 대구은행장에 선임됐다. 1982년 대구은행에 입사해 영업점장 및 지역본부장을 거쳐 2018년 은행 공공금융본부장을 역임했다. 영업과 마케팅 능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
임 행장은 부임 이후 디지털금융본부의 조직명을 ‘아이엠뱅크(IMBANK)’로 바꾸고 디지털 혁신에 앞장서고 있는데 비대면 채널 개선을 통해 신규 고객을 유치하겠다는 전략을 적극 활용할 계획도 가지고 있다.
11월까지 애플리케이션 메뉴 개편을 완료해 개인형퇴직연금 수익률과 세액공제현황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편리한 상품운용을 이뤄 고객만족도를 높이려 하고 있다.
비대면 강화와 이를 통한 수도권 확장 정책은 시중은행과 대등한 경쟁을 밝힌 DGB금융지주 차원의 전략과제다.
임 행장은 DGB대구은행의 개인형퇴직연금 수익률 우위를 앞세워 비대면 고객 확보를 통한 수도권 확장정책에 속도를 낼 수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