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국민의힘 안팎의 말에 따르면 최 전 원장은 국민의힘 의원들과 접촉면을 넓히면서 당심 잡기를 본격화하고 있다.
최 전 원장은 이날 서울시청을 방문해 오세훈 서울시장을 만났다. 국민의힘에 입당하고 나흘 만이다.
오 시장을 통해 당 차원의 지지를 이끌 수 있는 데다 본인의 처지가 오 시장과 비슷한 면도 있어 공감대를 형성하기 수월하다는 이점이 있는 것으로 풀이됐다.
오 시장은 지난 4·7재보궐선거에서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와 단일화에서 승리한 뒤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꺾고 최종 당선됐다. 윤 전 총장이 국민의힘 밖에 머물고 있어 안 대표에 비유되고 있는 만큼 내년 3월 대선에서도 오 시장의 모델을 따라 가려하는 것으로 보인다.
최 전 원장은 오 시장을 만나 “4·7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야권 단일화 과정에서 보여준 역전 드라마와 저력을 보고 감동했다”며 “역시 고수다”고 말했다.
앞서 최 전 원장은 17일 부산을 방문해 김미애(부산 해운대을) 국민의힘 초선의원을 만났다. 국민의힘 입당 뒤 첫 외부 행보를 보수지지층이 두터운 영남지역에서 시작한 것이다.
최 전 원장의 이런 행보는 윤 전 총장과 확연히 구분된다. 윤 전 총장은 같은 날인 17일 광주를 방문해 국립 5·18민주묘지를 참배했다. 국민의힘 대선후보와 겨루기 위해 중도층을 끌어안으려는 행보로 보인다.
반면 최 전 원장은 국민의힘에 먼저 안착해서 당 밖의 윤 전 총장과 경쟁할 기반을 다져야 한다. 정통 보수층에서 자리를 잡을 때 비로소 '윤석열 대안' 이상의 대우를 받기 시작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최 전 원장은 국민의힘 입당도 발빠르게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최 전 원장은 입당효과를 톡톡히 봤다. 일부 여론조사에서 국민의힘 입당 뒤 단번에 마의 벽이라 불리는 '5%' 지지율을 돌파했다.
여론 조사기관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이날 내놓은 7월 3주차 다음 대선후보 적합도 조사를 살펴보면 최재형 전 감사원장은 지난주보다 3.1%포인트 오른 5.6%로 집계됐다.
이 조사에서 범야권 후보만 따로 놓고 보면 최 전 원장은 벌써 3위권에 올랐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 29.1%, 홍준표 국민의힘 의원 12.0%, 최 전 원장 9.0%, 유승민 전 의원 8.0% 등이었다. 윤 전 총장 지지율이 3주째 횡보하고 있는 상황에서 최 전 원장이 약진한 것이다.
이번 조사는 TBS 의뢰로 16~17일 이틀 동안 전국 만18세 이상 남녀 1013명의 응답을 받아 이뤄졌다.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포인트다.
국민의힘 안에서도 그를 향한 우호적 태도가 곳곳에서 포착된다. 윤 전 총장과 달리 그는 당내 대선주자이기 때문이다. 현역 국회의원과 원외당협 위원장이 당내 대선주자의 선거캠프를 공개적으로 도울 수 있도록 허용했다.
이준석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서 “최고위원회의 결정으로 우리 당의 국회의원과 당원협의회 위원장들을 포함한 당원들은 자유롭게 당내 대선주자의 선거캠프에서 직책과 역할을 맡고 공표, 활동할 수 있다”며 “다만 경선관리의 공정성을 위해 경선준비위원회나 지도부, 원내지도부 등의 당직을 맡은 인사들은 경선캠프에 참여해서 활동할 수 없다”고 적었다.
다만 최 전 원장은 윤 전 총장과 차별화를 통해 경쟁력을 높이고 있긴 하지만 여전히 넘어야 할 산이 있다. 9월 말 시작될 당내 대선후보 경선에서 선전해야 한다.
당내 경선에서 선전하기 위해서는 대선주자에 걸맞는 미래 청사진을 보여줘야 한다. 윤 전 총장은 지난달 29일 정치활동을 공식화 했으나 '반문재인'만 내세우면서 콘텐츠가 없다는 평가를 들으며 고전하고 있다.
최 전 원장은 이번주 중으로 공식 대선 출마의 뜻을 밝힐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국민의힘 입당을 통해 '변화와 공존'을 내세우며 국민통합에 방점을 찍긴 했지만 이를 얼마나 구체화할 수 있는지가 관건이다. 일각에서는 여전히 '반문재인'과 '법치'를 넘어서지 못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는 홍준표 의원과 유승민 전 의원, 원희룡 제주지사, 하태경 의원, 윤희숙 의원, 황교안 전 대표, 박진 의원, 김태호 의원, 안상수 전 인천시장, 장기표 김해을 당협위원장 등 두 자릿수를 넘는 후보들이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여론조사와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비즈니스포스트 성보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