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청 관계자는 20일 비즈니스포스트와 통화에서 “권영진 시장의 거리두기 연장방침이 취소되고 다른 소상공인 지원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며 “최대한 빨리 준비해 설 이전에 발표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권 시장은 17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페이스북을 통해 “16일 긴급 브리핑을 통해 음식점 등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시간을 밤 11시까지 허용하기로 완화했던 ‘대구형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을 정부 지침대로 밤 9시까지 제한으로 재조정한다”며 “코로나19 장기화로 힘든 시간을 견디는 시민들과 자영업자들께 혼란과 상심을 드려 죄송하다”고 말했다.
그는 “대구의 거리두기 조정은 지자체장이 조정 가능하다는 정부의 절차와 지침을 따라 결정했고 경상북도와도 협의했는데 이런 사정을 잘 알고 있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대구시에 ‘주의’니 ‘유감’이니 하는 표현을 낸 것은 유감스럽다”며 불편한 심경을 숨기지 않았다.
이에 앞서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17일 대구시의 영업시간 연장 움직임을 두고 “사전 협의 없는 조치였다”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상당히 많은 지자체가 이 부분에 문제를 제기했다”고 말했다.
권 시장이 코로나19 방역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거리두기 시간 조정에 나선 것은 다른 여느 곳보다 대구지역 소매업의 위기가 크기 때문이라는 진단이 나온다.
한국은행이 2020년 11월 내놓은 ‘대구지역 전통시장 현황 및 활성화 방안’를 보면 대구는 전통시장의 수와 비중이 다른 지자체와 비교해 증가 추세를 보인다. 인구 10만 명당 전통시장 수(4.6개)도 광역시 가운데 부산(5.1개) 다음으로 많다.
대구의 전통시장은 점포 및 상인 등 소매업이 차지하는 비중도 각각 44%와 21%로 전국 평균(30.3%, 19.6%)에 비해 높은 편이다.
하지만 디지털 전환은 다른 지자체보다 늦어 비대면 유통방식이 덜 갖춰진 지역이기도 하다.
대구는 2020년 2월 신천지 사태 여파로 코로나19 확산의 피해를 가장 오랫동안 겪었다. 더구나 소매업의 비중이 높고 밀집도도 높은 데다 비대면 온라인 판매방식으로의 전환도 늦어 같은 코로나 위기에도 다른 지역보다 상대적으로 피해가 더 컸다.
권 시장은 이런 와중에 코로나19의 3차 재유행이 번지자 대구의 디지털 전환을 서둘렀다. 지난 11일 541억 원을 투자해 디지털 인력을 준비하고 12일에는 365억 원을 투입해 대구 테크노파크를 중심으로 지역 산업의 디지털화에 시동을 걸었다.
그러나 디지털 전환사업은 이제 시작 단계에 불과해 대구 소매업을 활성화에 당장은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국은행은 대구 소매업을 활성화할 다른 방안으로 다른 지자체를 벤치마킹해 가구의 소형화에 따른 맞춤전략을 구사하고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추진하는 ‘상권 르네상스사업’에 더 참여할 것을 제안한 바 있다.
상권 르네상스사업은 여러 전통시장을 하나로 묶어 대형상권으로 개발하는 사업으로 중기부는 2022년까지 30곳의 대형상권을 조성하고 있다.
2018년 대구 북구의 칠성 종합상권 활성화구역이 상권 르네상스지역으로 선정됐지만 아직 18곳이 남아 있어 대구에서 추가로 추진할 수 있다. 경기와 충남 등은 각각 2곳이 지정돼 있다.
가구 소형화 맞춤전략은 소매상인들이 1인용 소량포장 판매서비스를 개발해 디지털 전환이 추진되기 전에 1인가구들을 공략할 수 있는 메뉴 등을 개발하는 것을 말한다. 서울 망원시장의 소규모 가구를 겨냥한 소량포장 반찬 판매 등을 그 예로 들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