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와 네이버가 공인인증서제도 폐지로 활짝 열린 민간인증서비스시장에서 제휴 파트너 확대에 나서고 있다.
민간인증서비스를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 중인 전자문서시장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18일 카카오와 네이버에 따르면 공인인증서가 주로 쓰여왔던 금융·공공기관 중심으로 민간인증서비스 제휴기관을 확보하는 데 온힘을 쏟고 있다.
카카오는 2017년 카카오페이 인증서를 출시한 뒤 제휴기관을 200곳 이상 확보했다. 그러나 은행과 정부 부처, 공공기관 등에서는 카카오페이 민간인증서 도입이 저조했다.
카카오는 최근 SC제일은행 모바일뱅킹에 카카오페이의 민간인증서가 도입된 것을 시작으로 금융서비스 전반에 제휴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카카오는 행정안전부의 ‘공공분야 전자서명 확대 도입을 위한 시범사업’ 후보사업자에도 이름을 올렸다. 이르면 다음주에 최종사업자 선정 여부가 결정된다.
최종사업자로 확정되면 국세청의 홈택스와 연말정산 간소화, 행정안전부의 ‘정부24 웹사이트’ 등의 공공웹사이트 사용에 필요한 본인확인 절차에 카카오페이 인증서를 쓸 수 있게 된다.
네이버는 올해 3월 민간인증서비스를 시작한 이래 제휴기관을 빠르게 확보하고 있다. 현재 55곳을 확보했고 2021년 말까지 제휴기관 수를 10배 이상 늘리겠다는 목표도 세웠다.
금융분야에서는 흥국화재를 비롯한 보험사들을 중심으로 제휴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 안에 국민연금공단과 한국부동산원에서도 네이버 인증서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오경수 네이버 리더는 “네이버 인증서의 사용처를 더욱 빠르게 확장하면서 다양한 사용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고도화하겠다”고 말했다.
국내 민간인증서비스시장은 700억 원 규모로 그렇게 큰 편은 아니다. 하지만 카카오와 네이버는 민간인증서비스와 연계된 모바일 전자고지시장과 전자문서시장 등의 성장성에 주목하고 있다.
모바일 전자고지는 본인인증을 거쳐 예금이나 대출, 공공요금 납부 등의 디지털안내장을 모바일로 받아볼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따르면 모바일 전자고지시장 규모는 2019년 939억 원에서 2023년 2조1천억 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각종 공공·금융 서류절차를 온라인으로 처리하는 전자문서시장도 본인인증이 필요한 분야다. 전자문서시장 규모는 2018년 기준으로도 10조3500억 원에 이른다.
카카오가 최근 카카오페이 인증서 기반으로 각종 신분증과 자격증 등의 증명서류를 관리할 수 있는 ‘카카오톡 지갑’을 내놓은 것도 전자문서시장을 겨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앞서 이승효 카카오페이 서비스총괄부사장은 7월 미디어세미나에서 “앞으로는 인증뿐 아니라 인증 기반의 청구서와 전자문서 등의 서비스 활용데이터가 중요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네이버도 카카오톡 지갑과 비슷한 전자문서 관련 서비스를 2021년에 내놓을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은행들이 자체 인증서비스 강화에 힘쓰고 있는 점은 카카오와 네이버의 민간인증서비스 제휴기관 확대에 장애물이 될 수 있다.
SC제일은행을 제외한 은행 대부분은 금융결제원과 함께 마련한 금융인증서를 쓰고 있다. KB국민은행은 7월 자체 인증서인 ‘KB모바일인증서’를 내놓기도 했다.
통신3사의 통합 민간인증서 ‘패스’와 간편결제업체 비바리퍼블리카의 ‘토스’ 인증서 등 경쟁자들도 금융·공공분야를 빠르게 공략하고 있다.
패스의 사용기관 100곳 가운데에는 NH농협은행의 ‘올원뱅크’와 KB손해보험 등 금융기관 다수가 끼어있다. 토스 역시 SC제일은행을 시작으로 금융·공공기관 제휴를 늘려가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