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기준금리가 인상되면 국내 기업부채가 대규모로 부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와 금융당국은 앞선 구조조정으로 기업부채 해결을 모색하고 있다.
|
|
|
▲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의장. |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글로벌 전문가들은 15~16일 열리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 인상이 결정될 것으로 보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지난 10일 경제전문가 65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가운데 97%가 이번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의에서 현재 0%~0.25%인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것으로 예상했다.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사회 의장도 최근 청문회장에서 “미국경제의 성장은 앞으로 1~2년 동안 고용시장의 추가적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앞으로 나올 경제지표가 이런 판단을 뒷받침한다면 12월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살아있다”고 말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인상이 확실시되면서 우리나라 기업들의 부채 문제가 경제위기의 도화선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김정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우리나라 등 신흥국가 기업들의 부채문제와 같은 또 다른 불확실성을 불러올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김 연구원은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릴 경우 기업들이 외국에서 달러로 자금을 조달할 때 발행한 달러 표시 채권의 이자부담도 늘어날 것으로 분석했다.
우리나라는 신흥국가 가운데 내년에 기업에서 갚아야 하는 달러 표시 채권금액이 210억 달러로 가장 많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국내 대출금리도 함께 상승해 한계기업들의 부채를 한꺼번에 부실화할 위험성도 커진다. 한계기업은 3년 연속으로 벌어들인 돈보다 이자로 나가는 돈이 더 많은 회사를 뜻한다.
LG경제연구원이 내놓은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10년 만기인 미국 국채수익률이 1%포인트 상승하면 국내의 장기금리는 0.42%포인트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국채수익률은 기준금리와 반비례한다.
이창선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국내 장기금리도 오르면 부실업종에 포함된 기업들의 이자부담도 커진다”며 “국내경기가 확실하게 개선되지 않은 상황에서 미국의 기준금리가 계속 오르면 부채 문제가 악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내 전체 기업 가운데 한계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9년 12.8%에서 지난해 15.2%로 커졌다. 대기업 가운데 한계기업의 비중도 2009년 9.3%에서 지난해 14.8%까지 상승했다.
|
|
|
▲ 임종룡 금융위원장. |
정부와 금융기관들은 한계기업을 빠르게 구조조정해 대출 부실화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최근 “구조조정 대상기업으로 약 330개를 선정했고 12월 안에 대기업 구조조정 평가를 끝내겠다”며 “C등급 기업은 워크아웃으로 조기 정상화를 돕고 D등급 기업은 회생절차 등으로 시장퇴출을 신속하게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이 기업 구조조정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기준금리를 추가로 내려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박형중 대신증권 연구원은 “대내외 수요기반이 약하고 금융시장 변동성도 커지는데 기업구조조정을 진행하면 경제를 더욱 악화할 수 있다”며 “구조조정을 원활하게 하고 경제에 입힐 충격을 최소화하려면 기준금리인하 등 정책적 지원을 함께 해야 한다”고 밝혔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