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건설이 하반기에 호남고속철도 2단계 2공구 등 3건의 대형 인프라 구축공사 수주에 도전한다.
GS건설은 국내 주택사업에 치우친 수익구조를 다변화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는데 기술형 입찰로 진행돼 대형건설사의 수주 가능성이 높은 대규모 인프라사업을 확대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27일 GS건설에 따르면 호남고속철도 2단계 2공구 건설공사의 사업자가 11월에 결정된다.
한국철도시설공단이 발주한 이 공사는 전라남도 나주시 고막원역부터 목포시 임성리역 구간 가운데 5.8km에 철도와 교량을 건설하는 사업이다. 입찰방식은 기술형 입찰이며 사업비는 2458억 원에 이른다.
GS건설은 이 공사에 대표사로 40%의 지분으로 계룡건설산업 등과 컨소시엄을 맺고 참여했다. 경쟁사는 동부건설 컨소시엄이다.
GS건설은 11월에 국도 77호선 여수 화태~백야 도로건설 사업 1공구(사업비 2651억 원)과 서울 강남구 영동대로 광역복합환승센터 4공구 토목공사(2640억 원) 입찰에도 대표사로 참여해 수주를 노린다. 두 공사 모두 기술형 입찰방식으로 사업자를 선정한다.
GS건설은 2018년 세계 최초 경사 주탑(주탑이 기울어진) 현수교인 경남 하동군 노량대교를 준공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호남고속철도 2단계 2공구 공사와 여수 화태~백야 도로건설공사에 교량건설이 포함된 만큼 GS건설은 수주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GS건설이 기술형 입찰 방식의 인프라사업 수주에 힘을 쏟는 것은 이 분야가 대형건설사에 상대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이다.
기술형 입찰은 수주를 원하는 건설사가 직접 설계 또는 계획을 제안해 평가받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턴키', '기본설계 기술제안', '실시설계 기술제안' 등이 기술형 입찰이다.
기술형 입찰방식은 수주 확정 전에 설계 및 기술 제안의 비용이 들기 때문에 리스크가 높은 입찰방식으로 여겨진다. 그런 이유로 대형건설사들이 대표사로 컨소시엄을 맺고 참여하는 형태가 많다.
GS건설 관계자는 "기술형 입찰방식은 매몰비용 발생 가능성이 커 리스크가 높은 편이라 대형건설사에 유리할 수 있다"며 "이런 장점을 살려 기술형 입찰을 따내 이후 수주 가능성을 높여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의 사회간접자본 투자가 늘어나 기술형 입찰 방식의 대규모 공공 인프라구축공사가 많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도 GS건설이 이 분야에 힘을 쏟는 이유다.
정부는 6월 3차 추가경정예산을 발표하며 사회간접자본 투자 확대방안을 내놨다. 또 2021년 사회간접자본 예산이 역대 최대인 25조 원 이상 편성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GS건설은 건설주택시장 축소 전망에 사업 다각화가 시급한 상황이었는데 돌파구 가운데 하나로 기술형 입찰 방식의 인프라구축사업에 뛰어드는 것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고도의 기술력 갖춘 대형건설사의 수주 가능성이 높다는 점과 일단 사업을 따낸다면 이후 다른 공사를 수주할 가능성이 커진다는 점도 GS건설이 이 사업에 주목하게 된 이유로 파악된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기술형 입찰사업을 따내면 향후 공공기관이 발주하는 비슷한 형식의 사업에서 수주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
GS건설의 매출은 국내 건축주택사업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주택시장이 축소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 수익구조 다각화가 필요하다.
박형렬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부동산 관련 규제 강화로 주택 착공이 늘어나기 어려워졌다"며 "GS건설이 앞으로 주택부문을 성장동력으로 기대하기는 어려워진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GS건설은 2019년 건축주택사업부문에서 매출 6조294억 원을 냈는데 이는 2019년 전체 매출 10조4166억 원의 58%에 이른다.
반면 2019년 인프라사업부문은 매출 8707억 원을 거뒀는데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9%에도 못 미치는 것이다. 또 인프라사업부문 매출은 2017년 1조29833억 원, 2018년 1조1162억 원으로 점점 줄어들고 있다.
GS건설이 인프라 구축공사 기술형 입찰에 속도를 내는 것은 건축주택사업부문과 인프라사업부문의 큰 매출비중의 차이를 극복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GS건설은 해외에서도 도로와 터널을 짓는 호주 노스 이스트 링크 프로젝트 수주전에 뛰어들며 인프라사업 확대를 도모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상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