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시장은 18일 한국마트협회와 ‘제로페이 및 서울사랑상품권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박 시장은 “서울시는 지역의 소비 확대를 낳고 소상공인 및 소비자에게 실질적 혜택을 주는 서울사랑상품권을 발행하기로 했다”며 “시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동네 중소마트에서 서울사랑상품권 이용이 확산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제로페이사업을 서울시의 중장기 시정과제로 놓고 중소마트와 소상공인, 영세자영업자들을 중심으로 가맹점을 늘리는 등 제로페이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들을 다각도로 추진하고 있다.
제로페이에 캐시백 혜택을 도입한 것도 이런 활성화 방안 가운데 하나다.
박 시장은 17일 서울의 모바일 지역화폐인 ‘서울사랑상품권’의 발행 계획을 내놨다. 이 계획에 따르면 서울시는 2020년 2천억 원 규모로 지역화폐를 발행해 이용자들에게 7%의 캐시백 혜택을 주기로 했다.
아직까지 제로페이는 저조한 이용률을 보이고 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18년 12월부터 2019년 8월까지 제로페이 결제 비중은 0.01%에 불과하다. 신용카드(55.1%)나 체크카드(43.9%)는 물론 직불카드(0.7%)와 선불카드(0.2%)에도 미치지 못하는 저조한 실적이다.
이와 관련해 제로페이는 인천시, 군산시, 경기도 등 다른 지방자치단체에서 내놓은 지역화폐와 달리 캐시백 혜택 등 이용자를 끌어들일 유인이 없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박 시장은 서울사랑상품권이 대기업의 골목상권 진출과 온라인 활성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동네 중소마트 매출 증대와 지역 경제의 활력으로 이어져 제로페이의 도입 취지를 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하지만 내놓은 서울사랑상품권도 미흡한 부분이 많아 제로페이를 활성화하는 일이 쉽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우선 서울사랑상품권으로 캐시백 혜택을 도입하기는 했지만 서울의 전체 자치구에서 활용되지는 못하고 있다.
강서구와 송파구, 용산구, 서초구, 광진구, 노원구, 구로구 등 7개 자치구는 서울사랑상품권 발행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 이 자치구에서는 이 상품권을 사용할 수 없다.
박 시장은 서울사랑상품권을 발행하지 않는 자치구의 단체장들과 협의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서울시 관계자는 “박 시장이 내년 1월 말까지 서울 25개 자치구를 돌며 예산 설명회를 여는 자리에 해당 지역의 자치단체장이 참석할 것”이라며 “박 시장은 이 설명회 자리에서 아직 서울사랑상품권을 도입하지 않는 자치단체장과 상품권 발행과 관련 공감대를 형성하고 발행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용처가 제한돼 있는 것도 단점으로 꼽힌다.
서울사랑상품권은 대형마트와 백화점, 대기업 계열사, 프랜차이즈 일부, 사행·유흥업종 등에서 이용할 수 없도록 제한을 뒀다. 소상공인 보호와 지역상권 활성화라는 제로페이의 도입 취지를 달성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사용처의 제한은 궁극적으로 이용자의 선택권을 제한한다는 측면에서 이용률을 끌어올리는데 제약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인천시가 발행해 크게 성과를 거두고 있는 지역화폐 '인천이(e)음'은 인천 시내 전체업소의 99.8%에서 사용할 수 있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캐시백을 도입한 상품권을 발행하는 계획을 내놨지만 제로페이 활성화에 도움이 될 지 잘 모르겠다"고 말해 자신감을 보이지 못했다.
서울시는 사회적 합의도출이 중요한 점을 고려해 서울사랑상품권을 발행한 뒤에도 전문가 자문과 관련 단체의 의견수렴을 거쳐 사용처 제한 문제 등을 보완하기로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우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