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버스노조 총파업을 하루 앞둔 14일 서울 송파공영차고지에 버스가 주차돼 있다. <연합뉴스> |
전국에서 버스 파업이 임박한 가운데 서울시 등 지방자치단체들이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정부는 파업을 막기 위해 끝까지 협상의 끈을 놓지 않을 것을 당부했다.
서울시는 14일 버스 파업에 대비해 비상수송대책반을 가동한다고 밝혔다.
지하철 운행횟수를 하루에 186회 늘리고 막차 시간을 종착역 기준 새벽 2시까지 1시간 연장한다. 출퇴근 집중 운행시간도 오전 7~10시, 오후 6~9시로 1시간씩 늘어난다.
서울교통공사는 비상대기 전동차 15편성(열차 한세트)을 준비하고 혼잡도가 높은 환승역 등에서 질서유지 인력 2100여 명을 투입한다. 코레일, 공항철도 등도 막차 운행을 새벽 2시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마을버스도 예비차량을 최대한 투입하고 첫차와 막차시간을 앞뒤로 30분씩 늘려 운행횟수를 하루 3124회 늘린다.
서울시는 또 개인택시 부제와 승용차 요일제를 한시적으로 해제하기로 했다. 파업이 장기화할 때는 이동 수요를 분산하기 위해 시내 학교와 공공기관, 민간기업에 등교 및 출근시간을 1시간 조정해 줄 것을 요청한다는 계획을 세워뒀다.
14일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과 서울시 버스노조는 임금 5.98% 인상, 정년 연장, 학자금 등 복지기금 연장 및 증액 등을 놓고 2차 조정회의를 진행했다. 15일 0시까지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면 15일 오전 4시 첫차부터 운행이 중단된다.
파업에 참여하는 버스노조는 마을버스를 제외한 서울 시내버스 전체 65곳 중 61곳 노조다. 버스 대수는 7400대에 이른다.
서울 외에도 부산과 경기 등 전국 9곳의 버스 노사는 파업을 하루 앞두고 막바지 협상을 벌인다.
경기도는 시내버스 노선에 전세버스 200대를 투입할 계획을 세웠다. 부산시도 전세버스 등 170여 대를 확보해 교통 취약시간에 투입하기로 하는 등 지자체마다 대응에 나서고 있다.
반면 대구와 인천, 광주 등은 임금협상을 타결하며 파업을 철회했다.
정부는 500인 이상 버스사업장에 임금 지원을 1년에서 2년으로 확대하는 등 버스업계 지원방안을 내놓으며 지자체가 버스 노사 협상 타결에 적극적으로 나서줄 것을 요청했다.
김정렬 국토교통부 2차관은 14일 17개 시도 부단체장들과 영상회의에서 “그 어떤 경우라도 버스가 멈추는 일은 없어야 한다”며 “마지막까지 인내심과 막중한 책임감을 지니고 협상에 임해달라”고 당부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