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중공업·조선·철강

[환율전쟁 그림자] 원화값 상승 기류에 조선업계 희비, 삼성중공업 '안도' 한화오션 '울상'

신재희 기자 JaeheeShin@businesspost.co.kr 2025-05-23 10:20:00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편집자주>
미국이 주요 교역국 화폐 평가절상을 요구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환율 전쟁이 본격화될 태세다. 미국과 중국간 90일간 상호관세 유예 기간이 끝나면 협상 이슈가 환율로 옮겨갈 것이란 시선이 나온다.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이 0%대에 머물 것이라는 전망 속에 원화 절상의 그림자가 더해질 경우 경기침체는 가속화될 수 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플라자 합의에 따른 엔화 절상 후유증으로 일본 경제는 ‘잃어버린 30년’ 굴레에 빠지기도 했다. 비즈니스포스트는 미국의 약달러 정책 가능성으로 위기에 직면하고 있는 한국 수출 경쟁력을 짚어보고, 국내 기업들의 대응책을 살펴본다.

-글 싣는 순서
① 트럼프 정부 통상 압박 희생양되나, 원화 절상 가능성에 한국 경제 '시계제로'  
② 하루에 48.5원 출렁인 원/달러 환율, F4 커지는 불확실성에 중심잡기 안간힘
③ 트럼프발 약달러에 삼성전자·SK하이닉스 수익 준다, 반도체 수출 '비상'
④ 테더처럼 '디지털 원화'도 가능할까, 스테이블코인으로 환율 방어 나서는 은행권
⑤ 현대차그룹 연이은 역대 최대 매출 기록 속 숨어있는 환율효과, 현지 생산 확대에 사활 거는 이유
⑥ 강달러 시대 저무나, 롯데면세점 김동하 환율 리스크 앞 수익성 시험대
⑦ 한전 환율과 유가 하향 안정에 호실적 예고, 김동철 자생력 갖춰 재무건전성 우려 완화할까
 달러 약세에 날개 펴는 대한항공, 수익성 회복 청신호
⑨ 원화값 상승 기류에 조선업계 희비, 삼성중공업 '안도' 한화오션 '아쉬움'
⑩ 삼양식품 미국 관세 엎친데 환율 압박 덮쳐, 김정수 성장 전략 핵심 미국사업 안갯속


[비즈니스포스트]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 전쟁’에 이어 미국 달러약세를 유도하는 ‘환율 전쟁’ 카드까지 꺼내들면서 국내 조선사들의 환헷지 전략의 성과가 갈릴 것으로 예상된다.

조선사는 ‘강달러 수혜업종’으로 원화가치 상승기에 이익이 감소하는데, 업체마다 환율변동에 따른 위험회피 수준을 다르게 가져가고 있기 때문이다.
 
[<font color='#949494'>환율전쟁</font> 그림자] 원화값 상승 기류에 조선업계 희비, 삼성중공업 '안도' 한화오션 '울상'
▲ 지난해 급격이 치솟았던 원/달러환율이 하락함에 따라 서로 다른 환헷지 전략을 펼친 삼성중공업화 한화오션의 희비가 교차할 것으로 전망된다.

100% 헷지 전략을 펴고있는 삼성중공업은 원/달러 환율하락에도 영향이 없을 것으로 전망되지만 최근 환헷지 규모를 줄인 한화오션은 타격이 예상된다. 

2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9월부터 급격히 상승한 원/달러 환율은 최근 미국 정부가 주요 교역국가와의 무역협상 진행에 따라 추가하락이 예상된다.

최예나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방향이 저금리·약달러라는 것에 기반해 무역정책 협상을 생각해보면 관세의 일부경감, 원화절상, 미국 국채 매수의 조합이 예상된다”며 “ 한국 입장에서도 고환율은 한국은행의 금리 인하에 부담요인이었기에, 적정 수준의 환율 안정화(관세를 대체하는 원화절상)는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내 조선사의 1분기 말 적용 환율은 1달러당 1466.5원이었으나, 22일 1380.8원으로 상당 폭 하락했다. 이에 따라 조선사들 환헷지 전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통상 선박건조 대금은 달러로 결제되는데, 지급방식은 중도금 10%씩 4번 지급하고, 인도시점에 잔금 60%를 한꺼번에 지급하는, 이른바 ‘헤비테일’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에 따라 수주시점과 매출 발생시차가 1~2년 가량으로 그 사이 환율 변동에 따라 환차익·차손 등이 발생한다.

조선사들은 환율변동에 따른 손익의 불확실성을 제거하기 위해 통화선도계약, 통화스왑계약 등의 파생금융상품 계약을 금융기관과 체결하는데 회사마다 수주금액 대비 파생금융상품 계약 비중을 다르게 가져가고 있다.

국내 조선사 가운데서는 삼성중공업이 100% 환율헷지 전략을 펴고 있어 원화강세 국면에도 수익성 방어가 용이할 전망이다. 

회사는 1분기 말 기준 금융기관 17곳과 위험회피목적의 파생상품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실제로 1분기 파생상품거래이익 784억 원, 파생상품거래손실 187억 원으로, 확정계약거래이익 187억 원, 확정계약거래손실 653억 원으로 환율변동의 영향을 최소화했다.

또 삼성중공업은 러시아 조선소 즈베즈다 측의 20억 달러 규모의 계약해지 통보에 따라, 선2024년 말 선물환매도 관련 파생상품평가손실 7440억 원을 인식했다. 

선물환매도 계약이 만료되면 계약환율과 만료시점의 환율 차이만큼 손익이 확정될 예정으로, 원/달라환율 하락에 따른 손실 축소 가능성이 있다.

배기연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해당 파생상품손실과 관련해 “원/달러환율이 2024년 말 1달러 당 1470원보다 상승하지 않으면 추가 부담은 제한적”이라며 “만료시점 도래까지 원/달러 환율의 안정화 개연성에 초점을 둔다면 평가이익에 대한 기대감이 합당하다”고 말했다. 
 
[<font color='#949494'>환율전쟁</font> 그림자] 원화값 상승 기류에 조선업계 희비, 삼성중공업 '안도' 한화오션 '울상'
▲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환율은 22일 1달러당 1381원에 거래를 마쳤다. 

반면 한화오션은 2023년 5월 한화그룹에 인수된 뒤로 바뀐 환헷지 기조에 따라 원/달러환율 하락에 따른 영향이 커질 전망이다.

실제로 한화오션의 위험회피 목적의 달러화 선물환매도 계약 건수와 매도규모는 △2022년 293건 59억6000만 달러 △2023년 129건 34억3900만 달러 △2024년 40건 17억7400만 달러 등으로 줄어들고 있다.

회사에 따르면 2024년 말 기준 원/달러환율 10%포인트 하락 시 당기순손익은 2912억 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건조물량 확대 등의 요인이 있지만 2022년에는 약 130억 원이었던 수치가 크게 뛴 것이다.

1분기 말 기준 위험회피 계약으로 32건의 선물환매도 계약을 체결하고 있다. 평균약정환율은 1달러당 1225.9원, 매도규모는 15억9800만 달러 등이다.

한화오션은 1분기 실적발표회에서 “현재 외환시장과 거시경제 상황을 모니터링하면서 유연하게 환헷지를 하고 있다”며 “외환위험 노출정도는 계속 변동되지만 합리적인 수준”이라고 말했다. 신재희 기자

최신기사

SSG닷컴 '쓱페이' 물적분할, 별도법인 '플래티넘페이먼츠' 신설
어센트에쿼티파트너스, 화장품 제조사 씨앤씨인터내셔널 2850억에 인수
정부 부동산 공급상황 점검, "필요하면 토지거래허가구역 추가 지정 검토"
[오늘의 주목주] '트럼프 원전 확대 기대' 두산에너빌리티 6%대 상승, 코스닥 젬백스..
경기남부경찰청, '1700억 부당대출' 혐의 새마을금고 압수수색
게임 종사자 167인 이재명 지지 선언, "게임산업 생태계 조성에 동참 기대"
SGC이앤씨 300억 규모 유상증자 결의, 모회사 SGC에너지가 모두 넣기로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 조항 미국 하원 통과, 한국 배터리 기업 보조금은 유지
[현장] 카드학회서 '애플페이 무용론' 등장, "유료 방식이 카드사 수익 저해" 주장도
[이주의 ETF] 신한자산운용 'SOL 미국양자컴퓨팅TOP10' 21%대 올라 상승률 ..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