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가 이동통신3사 가운데 가장 적극적으로 드론을 이용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드론을 사업화하기 위해 넘어야 할 장애물도 많다.
7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하현회 LG유플러스 부회장이
권영수 LG 부회장에 이어 드론사업에 더욱 힘을 싣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최근 잇따라 드론 시연을 펼치며 드론사업에 더욱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팜한농과 손잡고 야간에도 정밀하게 작물 보호제를 살포하는 ‘드론 야간 방제 시연’을 성공적으로 마쳤고 드론으로 군 정찰 비행도 시연했다.
모두 8월
하현회 부회장이 대표이사에 취임한 뒤에 진행된 것들이다.
하 부회장은 대표이사 취임식에서 “드론, 자율주행 등 미래사업을 주도해 1등 사업자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며 드론사업이 LG유플러스의 새 성장동력이 될 것임을 강조하기도 했다.
하지만 LG유플러스가 드론사업에서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국내에는 아직 드론 관련 전문인력이 부족하고 보험 등 안정장치도 구비돼 있지 않다. 드론은 사고 유형 등 통계자료가 부족한 상황이어서 아직 보험회사들이 적정 보험료를 매기기 쉽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드론은 사고 위험성이 높아 보험제도가 제대로 구비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DB손해보험, 한화손해보험 등이 드론 종합보험을 운영하고 있지만 보상 기준 등이 불명확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기형 보험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드론에 관한 위험 정보의 공유가 가능해야 적정한 보험료 산출이 가능하고 공정가격으로 보험 가입이 이뤄질 수 있다”며 “드론산업이 활성화되려면 드론 보험의 구체적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규제도 LG유플러스가 드론사업을 쉽게 진행할 수 없는 요인으로 꼽힌다.
드론업계는 드론 주파수(2.4G, 5.8G) 강도 규제로 장거리 비행용 드론을 개발하기 쉽지 않다고 하소연하고 있지만 아직 규제 개선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드론 비행일로부터 60일 전에 허가를 받아야 하는 점도 드론의 활성화를 제약한다.
국토교통부는 상업용 드론의 규제를 강화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새 기준에 따르면 25kg를 초과하는 드론과 고속비행 드론의 안전 기준이 더욱 높이진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현행 드론 규제는 비용보다는 마련해야 할 서류를 많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며 “드론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국가 차원에서 규제 완화와 더불어 안전체계와 인프라 구축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LG유플러스는 2019년부터 드론사업을 본격화할 계획을 세워뒀다.
규제가 정비됨과 함께 5G가 상용화되면 드론의 활용성이 현재보다 훨씬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5G를 활용하면 초고화질(UHD)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어 보안분야에서 드론의 수요가 폭증할 가능성이 있다.
LG유플러스는 현재 에스원과 함께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드론을 출동하는 보안 서비스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드론은 열화상 카메라와 10배 확대가 가능한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LG유플러스 통신망을 통해 국내 어느 곳에든 전송할 수 있다.
국토교통부는 국내 드론시장을 2022년까지 1조4천억 원 규모로 육성한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다. LG유플러스가 드론에서 의미있는 수익을 내려면 시장 규모가 더 빨리 커져야 하는 셈이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국내 드론산업은 이제 막 시작하는 단계”라며 “LG유플러스가 드론사업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만큼 국내 드론시장을 선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나병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