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성훈 케이뱅크 행장이 인터넷전문은행 은산분리 규제 완화의 입법 지연으로 속을 태우고 있다.
은산분리 규제를 받지 않는 금융자본 주주들은 케이뱅크 증자보다 더 중요한 현안에 매달려 있어 심 행장이 케이뱅크의 후속 증자를 추진하는데 난항이 예상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국회 정무위원회는 인터넷전문은행의 은산분리 규제 완화 입법을 9월 정기 국회로 넘겨 다시 논의할 가능성이 높다.
여야는 27일 인터넷전문은행의 지분 보유 완화 대상과 지분율 한도를 놓고 논의를 이어갔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심 행장은 케이뱅크 안정화를 위해 마음이 급하다.
케이뱅크는 8월 대출상품 판매를 일시 중단했다. 대출상품 판매는 9월1일에 다시 시작되지만 이마저도 판매 한도가 있어 9월 내내 판매할 수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케이뱅크는 일정 수준의 자기자본비율을 지켜야 하기 때문에 후속 증자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앞으로 대출 상품의 판매를 완전히 중단할 가능성도 있다.
심 행장은 주주들을 통해 후속 증자를 추진하고자 하지만 상황이 만만치 않다.
심 행장은 7월 1500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추진했지만 전환주 300억 원어치를 3대주주에게 발행하는데 그쳤다.
케이뱅크의 3대주주는 우리은행(13.79%), KT(10%), NH투자증권(10%)이다.
이 가운데 은산분리 규제를 받지 않는 금융자본은 우리은행뿐이다. NH투자증권은 농협중앙회를 지배 구조의 정점에 두고 있어 산업자본으로 분류된다.
은행법은 산업자본의 은행 지분율 제한을 4%, 의결권이 없다면 10%로 규정하고 있다.
이 규정에 따르면 은산분리 규제 완화 전까지 KT와 NH투자증권은 지분율을 늘리는 유상증자에 참여할 수 없다.
심 행장은 지분율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전환주 발행 등을 생각해 볼 수 있겠지만 7월에 이미 써버린 카드란 점에서 주주들이 관심을 보일 가능성이 낮다.
주주를 늘려 증자를 하는 방식도 기존 주주가 20개에 이른다는 점을 감안하면 현실적이지 않은 방안이다.
심 행장은 결국 현재의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금융자본 주주와 유상증자를 협의해야 하지만 시기가 좋지 않다.
1대주주인 우리은행은 지주사체제 전환에 힘을 기울이고 있어 케이뱅크의 증자에 적극적으로 나설 뜻이 없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우리은행은 지주사체제 전환을 위해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며 “케이뱅크 주주 사이의 협의를 통해 지분 비율대로 증자가 이루어진다면 참여할 의사가 있지만 그 이상의 증자 계획은 현재로선 없다”고 말했다.
다른 금용자본 주주로 DGB금융지주(3.2%)가 있지만 최근 하이투자증권 인수를 추진하고 있어 케이뱅크 증자에 나설 여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7월 1500억 원 증자 실패 이후 주주들과 꾸준하게 증자를 협의해오고 있다”며 “다만 구체적 날짜나 증자 액수에 관해 정해진 것은 아직 없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감병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