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수정 기자 imcrystal@businesspost.co.kr2018-06-26 15:36:53
확대축소
공유하기
수소전기차시장의 선점을 놓고 한국 중국 일본 정부의 삼국지가 펼쳐지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이 수소전기차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른 완성차회사와 협력을 강화하는 가운데 한국 정부가 전폭적 지원에 나섰다. 세계 최초로 수소전기차를 양산했음에도 고군분투하던 현대자동차그룹이 큰 힘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이 2018년 1월17일 경기도 용인 현대자동차 환경기술연구소에서 정의선 현대자동차 부회장의 안내를 받고 있다. <뉴시스>
26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한국 정부가 수소전기차 종주국으로서 입지를 다지기 위해 중국과 일본의 수소전기차 육성정책에 맞불을 놨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수소전기차시장 선점을 위해 2022년까지 2조6천억 원을 민관합동으로 투입해 수소전기차 1만6천 대를 보급하는 목표를 세웠다고 25일 밝혔다.
중국 정부는 2020년까지 수소전기차 5천 대, 수소 충전소 100기 보급을 시작으로 2030년에는 수소전기차 100만 대 시대를 열겠다고 천명한 상황에서 한국 정부가 중국에 버금가는 수소전기차 보급정책을 내놓은 것이다.
일본 정부도 도쿄 올림픽이 열리는 2020년까지 수소차 보급을 4만 대로 늘리고, 수소충전소도 160개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현대차그룹은 수소전기차 시장의 선두주자로 홀로 어려운 싸움을 벌여 왔는데 한국 정부의 수소전기차 보급정책 강화로 큰 원군을 얻은 셈이다.
폭스바겐그룹과 수소전기차 기술협력 체결한 뒤 정부의 지원정책까지 발표되면서 현대차그룹은 민관 시너지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할 기회를 잡게 됐다.
현대차그룹은 수소전기차 기술 우위를 점하기 위해 최근 폭스바겐그룹의 아우디와 수소전기차의 연료전지 기술 개발 파트너십을 맺었다.
수소전기차 선두주자인 현대차그룹과 글로벌 완성차 판매 1위 폭스바겐그룹이 수소전기차 동맹을 맺으면서 그 파급 효과는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는 2013년 세계 최초로 양산형 수소전기차 투싼 ix35를 출시한 데 이어 2018년 차세대 수소전기차 넥쏘를 내놓으면서 수소전기차시장을 이끌고 있다.
현대차그룹이 국내 완성차회사 가운데 유일하게 수소전기차를 생산판매하는 상황에서 한국 정부의 수소전기차 보급정책은 현대차그룹에 특혜라는 지적이 일각에서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수소전기차가 전기차와 비교해 주행거리, 일자리 창출 효과에서 비교우위에 있다는 점이 한국 정부가 수소전기차 보급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칠 명분을 더해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내 소비자들은 친환경차의 주행거리를 성능을 가늠하는 주요 지표로 받아들이고 있다.
이에 따라 완성차회사들은 친환경차시장 경쟁에서 주행거리를 부각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그 기준은 서울에서 부산까지 거리인 325km를 완주할 수 있느냐로 귀결됐다.
국산 전기차 가운데 최장 주행거리를 보유한 차량은 현대차 코나 EV로 1회 충전으로 390km를 달릴 수 있다.
현대차 넥쏘를 비롯해 토요타 미라이 등 수소전기차는 전기차 주행거리를 훌쩍 뛰어넘는다. 1회 충전으로 넥쏘는 609km를, 미라이는 650km를 달린다.
수소전기차 충전소를 구축하는 데 1기당 20억 원 이상의 막대한 돈이 필요하다. 하지만 수소전기차 주행거리가 길기 때문에 조밀하게 충전소를 구축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투자 부담은 낮아진다.
임은영 삼성증권 연구원은 “남북 경제통합 시대를 맞이하면서 자동차 주행거리 개념도 변화할 필요가 있다”며 “부산과 평양 사이의 거리는 520km, 부산과 원산 사이의 거리는 456km로 수소전기차는 1회 충전으로 완주가 가능한 거리”라고 말했다.
전기차가 자동차산업 일자리에 ‘재앙’이라는 지적을 받는 것과 달리 수소전기차는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는 친환경차로 꼽힌다.
▲ 현대자동차 '넥쏘'.
전기차 부품 수는 8천~1만 개 수준으로 내연기관차의 30~40%에 불과해 전기차가 필요로 하지 않는 엔진, 변속기 등 관련 일자리 축소가 불가피하다.
독일 프라운호퍼 노동경제연구소는 전기차 보급으로 2030년까지 독일의 엔진과 변속기 생산 관련된 기술 인력 7만5천 명이 일자리를 잃게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이는 현재 관련 기술 인력 21만 명의 3분의 1 정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2030년까지 전기차 보급률을 25%로 가정했을 때의 전망치였다.
이와 관련해 하부영 현대자동차 노조위원장도 3월 로이터와 인터뷰에서 “전기차는 (일자리에) 재앙이자 악마”라며 전기차 생산이 급속하게 진행되면 현대차 직원들 가운데 70%가 직장을 잃을 수도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한국 정부는 최근 내놓은 수소전기차 보급정책에서 일자리 창출 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은 수소전기차 보급정책으로 2018년 400개, 2019년 480개 등 2022년까지 3800개의 일자리가 생겨날 것으로 전망했다.
수소전기차와 관련해 현대차그룹으로서는 미래 성장동력 확보와 일자리 창출이라는 정부의 정책에 부응하면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조건이 갖춰진 셈이다.
한국 정부는 구체적으로 2018년 수소충전 민간 특수목적법인 설립 등에 1900억 원, 2019년 실증용 수소버스 제작과 버스용 수소저장용기 출시 등에 4200억 원, 그 뒤 2022년까지 수소전기차 공장과 스택 공장 증설 등에 2조 원을 민관 합동으로 투자하는 계획을 세웠다.
송치호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한국 정부의 수소전기차 보급정책을 놓고 “수소경제 사회의 대표적 제품은 자동차분야의 수소전기차와 발전분야의 연료전지”라며 “정부는 하반기 수립될 제3차 에너지 기본계획에 수소에너지 내용을 반영하고 수소 인프라 확충에 나서면서 수소경제사업에 우호적 환경을 조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