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광주 완성차공장 건립을 놓고 광주시, 현대차, 현대차 노조 등 이해관계자들의 명암이 엇갈리고 있다.
광주시는 완성차공장 건립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꾀하고 있다.
광주시는 최근 일자리 부족으로 청년층의 인구 유출이 심각한 상황에 놓여있다.
광주시에는 기아차, 삼성전자, 금호타이어 등 일부 대기업을 제외하고 대규모 생산시설을 찾아보기 어렵다.
2012년부터 2017년까지 광주시의 순유출 인구는 3만2천여 명인데 이 가운데 66%에 해당하는 2만1천여 명이 20대 청년층이었다. 2017년 9월 말 현재 전체인구 146만7천 명의 1.4%에 이른다.
2017년 기준 광주시의 청년 고용률은 36.9%로 전국 평균인 43.4%에 크게 못 미쳤다.
이 때문에 윤장현 광주시장은 취임 초기부터 광주형 일자리정책을 추진해왔고 그 결과물이 광주 완성차공장이다.
광주 완성차공장 건립으로 1만2천 명의 직간접 고용 효과가 있을 것으로 광주시는 추산하고 있다.
6년 동안 광주시를 떠난 청년층 가운데 절반 이상을 다시 불러들일 수 있는 카드가 광주 완성차 공장인 것이다.
현대차가 광주 완성차 공장 건립을 위한 합작법인에 2대주주로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하면서 광주는 완성차공장에서 안정적으로 일감을 확보하는 데도 청신호가 켜졌다.
현대차는 530억 원을 투자해 합작법인 지분 19%를 확보하고 광주 완성차공장에 경형 SUV를 위탁생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현대차는 이번 투자 참여로 각종 세제 혜택과 인센티브 등 실리를 챙기는 동시에 정부의 일자리 창출정책에 적극 동참한다는 명분까지 얻을 수 있어 일석이조다.
더욱이 현대차가 최근 신흥국을 중심으로 해외에서 생산 능력을 확대하는 데 주력하면서 한국 자동차산업 발전에 다소 소홀했다는 지적도 이번 광주 완성차공장 투자로 털어버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기아차는 수익성을 감안해 경차 모닝을 동희오토의 서산 공장에 위탁생산하면서 비정규직을 착취한다는 비난을 받고 있지만 광주시가 완성차공장 직원을 전원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계획을 세우면서 현대차는 비정규직 착취 논란에서도 자유로울 수 있다.
동희오토의 서산 공장에서 일하는 하청회사 직원은 1300여명으로 모두 비정규직이며 정규직은 원청 관리직 180여 명뿐이다.
광주시와 현대차가 완성차공장을 설립하는 데 가장 큰 장애물로 현대차 노조의 반발이 꼽힌다.
▲ 현대자동차 실무자들이 2018년 6월4일 오전 광주시 빛그린국가산업단지에서 부지 개발 현황과 완성차 공장 부지 등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광주시>
현대차 노조는 광주 완성차 공장 건립을 단체협약 위반, 불법행위 등으로 규정하며 강력히 반대하고 있다.
광주시가 완성차공장 노동자에게 기존 완성차 생산직 임금의 절반 수준인 4천만 원을 지급하는 계획을 밝히면서 현대차 노조는 임금 동결 및 인하 압박을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였다.
노조는 반대 명분으로 노동계 임금의 하향 평준화를 내세우고 있지만 이를 이슈화할 때 현대차 생산직 평균연봉이 8천만 원 수준이라는 사실이 도드라져 자칫 귀족 노조 논란에 불을 붙일까 우려하고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이는 임금협상 등 회사를 상대할 때 협상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청년 실업률이 치솟고 비정규직 저임 노동이 사회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노조가 일반기업의 생산직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임금을 유지하기 위해 지역 일자리 창출을 막고 있다는 비판에 직면할 수도 있다.
또 현대차 노조는 광주 완성차공장의 위탁생산을 놓고 ‘물량 빼돌리기’라고 지적했듯 장기적으로 물량 축소에 따른 노조원 감소 등에도 신경이 쓰일 수밖에 없다.
현대차의 한 직원은 “국내 생산직의 고임금과 저효율성 탓에 회사는 국내 생산직의 신규 채용 규모를 줄이면서 퇴직 등으로 자연 감소 수순으로 가자는 방침”이라며 “광주 완성차공장은 기존 절반 수준의 인건비로 차량을 생산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며 위탁생산하는 회사 처지에서도 수익이 나는 구조”라고 말했다.
광주시와 현대차 처지에서 현대차 노조의 반발이 가장 큰 장애물이지만 둘 사이에서 좁혀야 할 의견 차이도 남아 있다.
광주시와 현대차는 이사회 구성, 경영책임 부담, 위탁 생산 차량 가격 등을 놓고 최종 협의에 이르지 못하면서 19일로 예정된 투자협약 조인식을 미루기로 했다.
광주 완성차공장이 자치단체와 대기업이 합작법인을 설립하는 국내 최초의 시도인 만큼 광주시와 현대차 모두 적지 않은 부담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