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금융  금융

1분기 은행 부실채권 비율 낮아져, 리스크 관리 강화 덕분

최석철 기자 esdolsoi@businesspost.co.kr 2018-06-08 11:37:56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1분기 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이 소폭 낮아졌다. 은행들이 리스크 관리를 강화한 영향을 받았다.

8일 금융감독원이 내놓은 ‘2018년 1분기말 국내 은행의 부실채권 현황(잠정)’에 따르면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은 3월 말 기준 1.18%로 나타났다. 1년 전보다 0.20%포인트 낮아졌고 지난해 말과 비교하면 0.01%포인트 개선됐다.
 
1분기 은행 부실채권 비율 낮아져, 리스크 관리 강화 덕분
▲ 8일 금융감독원이 내놓은 ‘2018년 1분기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현황(잠정)’에 따르면 국내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은 3월 말 기준 1.18%로 나타났다.<뉴시스>

금감원은 “은행들이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이면서 신규부실 발생 규모가 줄었기 때문”이라고 파악했다.

3월 말 부실채권 규모는 21조1천억 원으로 2017년 말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기업여신 부실채권이 19조3천억 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그 뒤로 가계여신 1조6천억 원, 신용카드 채권 2천억 원 등이었다.

1분기에 새로 발생한 부실채권은 3조9천억 원으로 전분기보다 1조9천억 원 줄었다.

신규 부실채권을 부문별로 살펴보면 기업여신 부실채권이 3조2천억 원, 가계여신 부실채권이 6천억 원으로 조사됐다.

1분기에 정리된 부실채권 규모는 3조9천억 원으로 지난해 말보다 1조3천억 원 감소했다. 담보 처분에 따른 회수 1조8천억 원, 대손상각 9천억 원, 매각 6천억 원, 여신 정상화 6천억 원 등이다.

부문별 부실채권 비율을 보면 기업여신 부실채권 비율은 3월 말 1.75%로 지난해 말보다 0.01%포인트 떨어졌다.

대기업여신의 부실채권 비율은 2.85%로 전분기보다 0.01%포인트 높아졌고 중소기업여신 부실채권 비율도 0.02%포인트 상승한 1.13%로 나타났다. 

가계여신의 부실채권 비율은 0.25%로 지난해 말보다 0.01%포인트 높아졌다. 

금감원 관계자는 “시중은행 및 특수은행과 비교해 지방은행의 평균 부실채권 비율은 지역경제 여건 악화 등으로 소폭 상승했다”며 “앞으로 시장금리 상승 등 불확실성에 따라 부실채권이 불어날 수 있는 만큼 신규부실 발생 등 은행의 자산건전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

최신기사

정부 '외환은행 매각' 관련 '론스타 ISDS 취소소송' 승소, 배상금 0원
한국-UAE AI·에너지 협력, 초기 투자만 30조 'UAE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공동..
교촌치킨 이중가격제 확대, 일부 매장 순살메뉴 배달앱 가격 2천 원 인상 
신한금융지주 회장 후보 진옥동 정상혁 이선훈에 외부 1인 포함 4명 압축, 12월4일 ..
CJ그룹 새 경영리더 40명 승진 임원인사, 작년보다 2배 늘리고 30대 5명 포함
농심 해외 부진에도 3분기 '깜짝실적', 국내 '넘사벽' 라면왕으로 올라선 비결
유안타증권 1700억 규모 신종자본증권 발행, "자본 늘려 수익 다각화 집중"
풀무원 '일본 사업 적자'로 영업이익 1천억 턱밑 좌절, 이우봉 내년 해외 흑자 별러
[오늘의 주목주] '하이닉스 최대주주' SK스퀘어 6%대 급락, 코스닥 에코프로 7%대..
메모리반도체 품절 사태가 중국 기업 키운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물량 대체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