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생명보험은 1분기 기준으로 총자산 9조1157억 원을 보유해 KB금융그룹 계열사 12곳 가운데 5번째로 몸집이 크다.
그러나 KB생명보험이 1분기에 거둔 순이익은 47억 원으로 집계돼 더 적은 총자산을 보유한 KB캐피탈(353억 원), KB자산운용(114억 원), KB부동산신탁(146억 원)에 뒤처졌다.
KB생명보험은 2월 기준 생명보험회사 25곳 가운데 총자산 17위다. 업계 상위권 회사로서 ‘규모의 경제’ 효과를 누릴 수 있는 다른 주요 계열사들보다 불리한 위치에 놓여있다.
이전에 은행과 연계한 방카슈랑스영업을 통한 저축성보험 판매 위주로 수익을 올려왔던 점도 새 국제회계기준(IFRS17) 도입을 준비하는 과정에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새 국제회계기준이 도입되면 보험부채를 계약 시점의 원가 대신 현재 시장가격으로 계산한다. 높은 이자율을 매겨왔던 저축성보험의 판매비중이 높을수록 보험부채 부담도 커지는 것이다.
이를 감안해 KB생명보험은 저축성보험 비중을 낮추고 보장성보험과 변액보험에 집중하는 쪽으로 수익구조를 바꾸는 데에 힘쓰고 있다.
보장성보험은 사망이나 중병 등 고객의 생명 관련 사고가 나면 약속한 돈을 지급하는 보험상품이다. 다만 생존해 있을때 고객에게 돌려주는 보험금이 없거나 납입된 보험료를 넘지 않아 보험회사는 안정적 수익을 낼 수 있다.
변액보험은 보험료의 일부를 주식이나 채권 등에 투자운용해 고객에게 성과를 나눠주고 수수료를 받는 상품이다. 자산운용수익을 나눠주는 방식이라 보험부채가 크게 늘어나지 않는다.
허정수 KB생명보험 대표이사 사장도 2018년 1월에 취임한 뒤 경영전략회의에서 새 국제회계기준 도입에 대비해 상품을 개발할 계획을 내놓는 등 같은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KB생명보험의 보험계약을 살펴보면 보장성보험이 1분기 기준으로 전체 계약의 41.9%를 차지하고 있다. 변액보험 수입보험료도 2월 기준으로 807억 원으로 집계돼 2017년 2월보다 46.7% 증가했다.
KB생명보험은 최근에도 보장성보험과 변액보험 상품의 라인업을 강화하고 있다. 4월 초 고객이 최저연금적립금(GMAB)의 보증 여부를 중도에 선택할 수 있는 변액연금상품을 내놓았다. 5월 초에는 치매건강보험과 치매종신보험 상품인 ‘기억하세요’ 시리즈를 출시했다.
그러나 KB생명보험이 보장성보험과 변액보험 위주로 수익구조를 바꾸는 데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 과정에서 영업비용 부담이 커지는 문제도 있다.
KB생명보험은 1분기에 순이익 47억 원을 올렸고 2017년 같은 기간보다 60% 정도 감소했는데 보장성보험 영업을 늘리기 위해 설계사와 독립보험대리점(GA) 비중을 높이면서 수수료비용이 늘어난 점이 반영됐다.
이 때문에 KB금융그룹이 증권, 캐피탈, 손해보험 등에서 그랬듯 인수합병을 통해 KB생명보험의 몸집을 불리는 방식으로 수익성을 빠르게 끌어올릴 수 있다는 전망도 계속 나오고 있다.
허 사장이 KB금융지주 임원 시절 LIG손해보험(현 KB손해보험)과 현대증권(현 KB증권)의 인수후통합(PMI) 작업 실무를 맡았던 것도 인수합병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꼽힌다.
금융권 관계자는 “KB생명보험이 보장성보험 위주로 수익구조를 바꾸고 있지만 실제 순이익 증가로 이어지는 데에 최대 몇 년이 걸릴 수 있다”며 “인수합병은 순이익을 곧바로 끌어올릴 수 있는 만큼 KB금융그룹 차원에서 생명보험사 매물에 계속 관심을 보일 것이라는 점도 눈여겨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