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중소기업의 혁신성장을 위해 2022년까지 전국 2만 곳에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고 일자리 7만5천 개를 만들기로 했다.
문재인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8일 서울시 광화문 KT빌딩에서 제5차회의를 열고 ‘스마트공장 확산 및 고도화 전략’을 심의했다. 스마트공장이란 제조 과정에 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하면서 데이터에 기반해 의사결정을 하도록 해 생산성을 높인 공장을 말한다.
장병규 4차산업혁명위원장은 모두발언에서 “스마트공장 확산 및 고도화 전략은 스마트공장 확산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경쟁력을 강화하며 중소기업의 근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전략은 2022년까지 2만 개의 스마트공장을 만들고 이를 통해 일자리 7만5천 개를 창출하도록 돕는다는 청사진을 제시한다.
정부는 민간과 지역 중심으로 스마트공장이 확산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민간과 정부가 스마트공장을 구축하는 비율은 올해 30%대 70%인데 정부는 이 비율이 50%대 50%이 되는 것을 목표로 잡고 있다.
정부는 대기업이 중소기업과 협력할 때 후원하는 상생형 모델을 제시했다. 대기업이 중소기업과 손잡고 스마트공장을 만들게 되면 재원 부담비율은 정부 30%, 대기업 30%, 중소기업 40%가 된다.
정부는 스마트공장을 세운 우수기업에게 연구개발(R&D) 자금 등도 연계해 지원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지역별로 스마트공장 지원센터를 설치하고 6개 국가산업단지를 확산거점으로 지정해 운영할 계획도 세웠다.
이와 함께 정부는 센서와 로봇, 솔루션 등 요소기술과 인공지능과 가상현실 등 스마트공장 고도화 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개발 지원도 강화하기로 했다.
정부는 기존에 지어진 스마트공장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 올해 142억 원을 지원하고 전문인력도 키우기로 했다.
정부는 2022년까지 기존 생산인력을 스마트공장 운영인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재직자 5만 명에게 직무전환 교육을 실시한다. 스마트공장 기반기술을 개발하고 운영설계기술을 고도화하기 위한 석박사 교육과정도 늘리기도 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주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