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석철 기자 esdolsoi@businesspost.co.kr2018-01-24 15:44:39
확대축소
공유하기
은행권이 가상화폐를 둘러싼 논란에도 불구하고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인증 서비스 개발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정부는 가상화폐 규제를 놓고 부처간 ‘엇박자’를 내면서도 블록체인과 관련해서는 활성화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보이고 있다.
▲ 은행연합회는 4월에 기업은행 등 6곳에 '은행 공동 블록체인 인증시스템' 시범서비스를 시작한 뒤 은행 18곳 모두 7월부터 정식 서비스를 도입하기로 했다..
기획재정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금융위원회 등 주요 부처들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업무보고에서 모두 같은 목소리를 냈다.
마창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조실장은 “가상화폐는 관계부처 협의하에 부작용을 면밀히 주시하고 블록체인은 미래 신산업으로 활성화할 것”이라며 “가상화폐와 블록체인을 명확하게 구분해서 정책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은행들도 정부의 가상화폐 규제방향에 발맞추면서 블록체인을 활용한 신규사업에는 적극적으로 관심을 보이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인인증서의 우월적 지위를 없애 사설인증서와 같이 다양한 인증수단의 하나로 활용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으면서 은행권의 블록체인 적용 서비스 개발에 더욱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은행연합회는 2016년 11월부터 은행 16곳이 참여하는 블록체인컨소시엄을 꾸려 ‘은행 공동 블록체인 인증시스템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현재는 지난해 출범한 케이뱅크와 카카오뱅크가 추가로 참여해 은행 18곳이 참여하고 있다.
컨소시엄은 지난해 11월 삼성SDS를 시스템개발 사업자로 선정해 시스템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데 올해 4월에 기업은행 등 6곳에 시범서비스를 시작한 뒤 은행 18곳 모두 7월부터 정식 서비스를 도입하기로 했다.
은행들이 보유하고 있는 고객들의 본인인증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해 고객들이 공동인증서 하나로 18곳 은행에서 본인인증을 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인증서 유효기간도 현재 1년에서 3년으로 늘어난다.
은행연합회는 컨소시엄에서 인증시스템을 시작으로 중장기적으로 해외송금과 지급결제 등 다양한 사업영역에 블록체인을 적용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블록체인을 금융거래에 도입하면 거래정보 관리와 보안대책에 드는 비용과 시간을 아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다만 국민 대다수가 기존 공인인증서에 익숙한 상황에서 은행권에서만 활용되는 공동인증서가 대중적으로 자리잡기 쉽지 않을 것이라는 말도 나온다.
지난해 6월 기준으로 국내에서 3659만 명이 공인인증서를 발급받아 모든 금융권에서 사용하고 있는데 은행 공동인증서의 경우 은행이 아닌 증권과 보험, 카드 등 다른 금융업권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은행연합회뿐 아니라 금융투자협회와 생명보험협회, 손해보험협회, 여신금융협회 등도 블록체인 인증서비스를 시범적용하고 있거나 개발하고 있지만 이들을 다시 통합하고 표준화하는 데까지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강준영 산업은행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블록체인의 가치는 인터넷플랫폼과 마찬가지로 그 참여의 폭에 따라 결정될 수 있기 때문에 블록체인 기술 표준화를 위한 국가 또는 산업단위의 마스터플랜이 필요하다”며 “권리·의무관계가 중요한 금융시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규율체계 마련과 관련된 추가적 연구도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