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종근당은 2분기 코마케팅을 통한 외형 성장, 상품 매출은 증가했으나, R&D 투자 강화로 수익성은 하락했다.
유진투자증권은 6일 종근당에 대해 투자의견 ‘BUY’, 목표주가 12만5천 원을 유지했다. 직전거래일 5일 기준 주가는 8만3200원에 거래를 마쳤다.
▲ 종근당의 2026년 매출액은 1조8180억 원, 영업이익은 1020억 원으로 추정된다. <종근당> |
종근당의 2분기 별도기준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11.6% 늘어난 4296억 원, 영업이익은 21.9% 줄어든 222억 원으로 컨센서스에 부합했다.
노바티스에서 수령한 CKD-510(HDAC6 저해제) 임상 2상 진입 마일스톤 500만 달러(약 69억 원)이 반영됐다. 이를 제외 시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대비 46% 줄어든 153억 원으로 영업이익률은 3.5%까지 하락했다.
2분기 매출액이 성장하였으나 펙수클루(188억 원), 고덱스(192억 원) 등 코마케팅 상품 매출 비중이 증가하면서 매출원가율은 전년 동기대비 3.2%p 증가한 69% 상승했다.
연구개발비가 전년 동기대비 24.1% 증가하면서 연구개발비 비중은 매출액 대비 9.5%까지 상승했다. CKD-703(c-MET ADC)의 미국 임상1/2a상 진입 등 임상 초기 및 연구 개발 단계 파이프라인들에 대한 투자가 증가했다.
권해순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원가율 상승 및 R&D 투자 증가를 반영하여 2025년 이후 영업이익을 하향 조정한다”며 “영업이익을 하향 조정했으나 글로벌 R&D 파이프라인의 임상 진전을 반영하여 목표주가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2023년 11월 노바티스에 기술이전한 CKD-510는 2025년 5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임상2상 임상시험계획서(IND) 신청서가 제출됐다.
개발 적응증과 임상 기간은 임상이 시작되면 FDA 공식 사이트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임상 2상 결과는 2027년 이후 확인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CKD-703, CKD-702(EGFR x cMET 이중항체)의 임상은 진행 중이다.
지난 6월12일 시흥 배곧 연구 용지에 ‘바이오 복합연구개발 단지 조성을 위한 부지를 확보(949억 원)하면서 총 2조2천억 원 규모(미정)의 연구개발단지 조성을 위한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했다. 현재까지 구체적인 투자계획은 공개되지 않았다.
2023년 빅파마 노바티스에 대규모 기술 이전을 했고,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며 중장기 성장 전략이 실행 단계에 진입했다. 다만 R&D 성과가 가시화되고 명확한 중장기 성장 동력이 확보되기까지 최소 2~3년의 시간 소요될 전망이다.
권해순 연구원은 “투자 성과가 가시화되는 시점에서 가치 재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어 중장기적 관점의 투자 전략이 유효하다”고 설명했다.
종근당의 2025년 매출액은 전년대비 11.0% 늘어난 1조7320억 원, 영업이익은 4.6% 줄어든 840억 원으로 추정된다. 장원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