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 기업들이 정부의 탄소중립정책을 신뢰하지 못해 기후대응을 축소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영국 총리 관저가 위치한 다우닝가 10번지 모습. <위키미디아 커먼스> |
[비즈니스포스트] 영국 기업들이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을 신뢰하지 못해 기후대응 계획을 축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현지시각) 로이터는 영국표준협회(BSI) 설문조사를 인용해 영국 기업 리더들이 기후변화 대처에 제동을 걸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건강, 건설, 금융, 제조업 분야 영국 기업 임원들 천 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지난해 정권 교체에 성공한 영국 노동당 정부는 보수당 정부의 기후정책을 꾸준히 이어나가겠다고 선언했으나 재생에너지, 친환경 기술, 일자리 관련 투자는 늘리지 않고 있다.
이에 BSI 설문조사에 따르면 조사 참여자 가운데 71%는 '정부는 탄소중립을 추진하는 동시에 경제 발전도 추진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고 답했다. 또 50%는 탄소중립과 경제 발전 모두를 달성하는 목표가 비현실적이라고 보는 것으로 파악됐다.
탄소중립과 경제발전이 양립할 수 없다고 보는 주요 원인으로는 친환경 기술의 높은 비용, 기술 투자 자금 부족, 사업 성장을 우선시하는 각 기업들의 움직임 등이 있었다.
이에 BSI는 영국 기업들의 기후대응 수준은 지난해와 비교해 눈에 띄게 낮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 참여자들 가운데 36%만이 올해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설정했다고 답했다. 지난해 58%와 비교하면 22%포인트 감소한 수치였다.
올해 기후변화 대응에 나설 것이라 답한 기업 관계자들도 49%에 불과해 지난해 83%에 한참 못 미쳤다.
2050년까지 영국이 탄소중립을 달성할 가능성이 높다고 답한 조사 참여자 비중도 지난해 76%에서 올해 55%로 크게 줄었다.
다만 정부를 향한 신뢰와 별개로 기후대응을 여전히 추진할 것이라고 답한 기업들은 83%로 과반수를 차지했다.
스콧 스티드먼 BSI 표준담당 디렉터는 로이터를 통해 "이번 조사 결과는 지난해 선거 이후 영국 정부의 정책 변화와 기후대응을 향한 국제적 반발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손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