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화학·에너지

롯데케미칼 1분기 영업손실 1266억, 2개 분기 연속으로 적자폭은 줄여

김환 기자 claro@businesspost.co.kr 2025-05-13 16:47:50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롯데케미칼이 2개 분기 연속 적자폭을 줄였다. 

롯데케미칼은 1분기 잠정 기준 연결 매출 4조9018억 원, 영업손실 1266억 원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0.1% 늘었고 영업손실 규모는 1075억 원 줄었다.
 
롯데케미칼 1분기 영업손실 1266억, 2개 분기 연속으로 적자폭은 줄여
▲ 롯데케미칼이 2개 분기 연속 적자폭을 축소했다.

롯데케미칼 영업손실은 지난해 4분기부터 2개 분기 연속 감소했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기초화학 부문은 매출 3조3573억 원, 영업손실 1077억 원을 거뒀다. 전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1.5% 늘었고 영업손실은 673억 원 줄었다.

롯데케미칼은 “대산 공장 정전으로 일정 기간 가동 차질이 발생했지만 스프레드 개선 및 경비 절감, 긍정적 환율 영향에 적자가 줄었다”며 “2분기에는 원료가 하향 안정화가 예상되며 대산 공장 및 해외 자회사 정기 보수가 진행된다”고 설명했다.

첨단소재 부문은 매출 1조1082억 원, 영업이익 720억 원을 냈다. 지난해 4분기와 비교해 매출은 1.3%, 영업이익은 145.5% 증가한 것으로 원료가 안정화 및 수요 개선으로 스프레드가 확대된 영향이 있었다.

롯데정밀화학은 매출 4456억 원, 영업이익 188억 원을 올렸다. 전 분기와 비교해 각각 4%, 54.6% 증가한 것으로 주요 제품 국제가 상승에 따른 판가 인상 및 판매량 확대 영향이 있었던 것으로 분석됐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매출 1580억 원, 영업손실 460억 원을 거뒀다. 매출은 15.2% 줄고 영업적자가 이어진 것으로 전기차 시장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이 장기화되면서 고객사 재고 조정 영향에 판매량이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롯데케미칼은 “전쟁 및 미국 관세 이슈 등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상황에서도 변화에 민첩히 대응해 수익성을 높이는데 집중하고 있다”며 “고부가 포트폴리오 확대 및 자산경량화 전략 실행 등 재무건전성 개선을 이어갈 것이다”고 말했다. 김환 기자

최신기사

'출산 가산점' 논란 민주당 김문수 의원, 선대위 부본부장직 사퇴
법사위 '대법원 대선개입' 의혹 청문회 개최, 조희대 대법원장 등 증인 불출석
키움증권 "이마트 할인점 기존점 성장률 상승 기대, 올해 영업이익 1059% 성장 예상"
한화투자 "이마트, 스타벅스 가격인상은 환율 급등으로 빛이 바랬다"
한화투자 "코스메카코리아 2분기도 역성장 불가피, 하반기 기다리며"
하나증권 "코스메카코리아 올해 성장 지속, 하반기 매력도 확대"
SK네트웍스 1분기 영업이익 15% 감소, "신규 브랜드 출시 비용 영향"
미국 공화당 전기차 세액공제 조기 종료 법안 추진, 전기차 세액공제 종료 2026년으로..
[13일 오!정말] 김문수 "윤석열 탈당은 권한 밖의 일" vs 이준석 "즉각 출당하라"
선관위 제21대 대선 선거보조금 523억 지급, 민주당 265억 국힘 242억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