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윤 대통령은 22대 총선을 불과 두 달 앞둔 지난해 2월 기존 3천 명 선이던 의대 정원을 2천 명 더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당시 정부는 왜 2천 명인지에 대해선 "확실한 근거를 갖고 충분히 논의했다"고 주장했지만, 대한의사협회 등 당사자들은 협의한 적이 없다고 반발했다. 하지만 윤 대통령은 거듭 "협상이나 타협 대상이 될 수 없다"며 강경한 태도를 유지했다.
이후 의료대란 우려는 현실이 됐고, 의료개혁을 지지했던 민심도 등을 돌리면서 여당은 총선에서 참패했다. 하지만 윤 대통령은 고집을 꺾지 않고 급기야 12·3 비상계엄 포고령에도 "복귀하지 않은 전공의를 처단한다"고 못박았다.
이와 별도로 권 원내대표는 최근 들어 기존의 '헌재 때리기'에 집중하던 모습에서 벗어나 잇달아 정책 행보를 보이고 있다.
국민의힘은 6일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배우자 상속세 전면 폐지와 유산세의 유산취득세 전환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상속세 공제액을 18억 원으로 높이는 상속세 개편을 추진하고 있어 국민의힘도 정책적 대안을 내놔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권 원내대표는 6일 인공지능(AI) 업계 간담회 후 기자들과 만나 더불어민주당이 제안한 50조 원 규모 첨단전략산업 국민펀드 조성에 대해 "기업에서 자발적으로 투자해서 연구하고 거기에 정부의 재정으로 지원하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이라며 나름의 대안을 제시했다.
권 원내대표가 이처럼 민주당과 '정책 경쟁'에 나선 것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일정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법조계에 따르면 오는 11일 혹은 14일에 헌법재판소 결정이 나올 것으로 알려졌다. 탄핵소추가 인용되면 60일 안에 대선을 치러야 한다.
현재 민주당은 상속세 개편 등 정책 행보에 시동을 걸었다. 언제까지 윤 대통령 탄핵 반대만 외치고 있을 순 없는 것이다.
신동욱 국민의힘 대변인은 4일 YTN라디오 '신율의 뉴스정면승부'에서 "만약의 경우 탄핵이 인용된다면 일정(60일 이내 대선)이 있기 때문에 그 일정에 따라서 내부적으로 점검하는 준비가 없을 수 없다고 본다"면서 조기 대선을 위해 내부적으로 준비하고 있음을 감추지 않았다. 조성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