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전국 새마을금고가 상반기 순손실 1조2천억 원을 낸 가운데 수도권을 중심으로 건전성도 크게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에 대형금고가 많고 부동산 사업장이 많은 만큼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성 재평가에 큰 타격을 입은 것으로 분석된다.
▲ 김인 새마을금고 중앙회장이 추진하는 서민금융 정체성 회복이 꼬이고 있다. |
부동산PF 부실을 씻어내 안전성을 확보하고 가계대출을 늘려 서민금융기관으로서 정체성을 회복해야 하는
김인 새마을금고중앙회장의 과제가 만만치 않아 보인다.
2일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행정안전부에 받은 자료를 보면 수도권 새마을금고 연체율은 전국 금고 평균인 7.24%를 웃돌았다.
서울 금고 235곳 연체율은 8.00%, 인천(53곳)은 9.06%, 경기(109곳)는 7.96%으로 집계됐다. 수도권 금고는 모두 397곳으로 전체 새마을금고 1284곳의 30% 가량을 차지한다.
수도권에 대형금고가 많고 부동산 사업장이 몰려 있는 데 영향을 받았다.
새마을금고중앙회 관계자는 “PF 사업장이 수도권에 몰려 있는 만큼 수도권 금고가 PF대출을 많이 내줬다”며 “지역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이슈가 된 지역보다 수도권 지역 금고 연체율이 높게 잡혔다”고 설명했다.
실제 수도권 금고 건전성은 지난해 초 지역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충당금 문제로 중앙회와 내홍까지 벌어진 대구지역 금고보다도 나빴다. 대구지역 금고 102곳 연체율은 6월 말 기준 7.80%로 집계됐다.
정부의 부동산PF 연착륙을 위한 사업장 재평가 방침이 수도권 새마을금고 연체율에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여겨진다.
새마을금고는 상반기 특히 부동산PF 연체율이 포함되는 기업대출에서 건전성 악화가 두드러졌다.
농협·수협·신협·산립조합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6월 말 기준 6.46%로 지난해 말보다 2.15%포인트 상승했다. 반면 새마을금고 기업대출 연체율은 반면 6월 말 11.15%로 같은 기간 3.41%포인트 높아졌다.
결국 새마을금고 전체 연체율은 6월 말 기준 7.24%로 다른 상호금융(4.38%)의 1.5배 수준에 이르렀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1.77%로 다른 상호금융(1.99%)보다 낮다는 점을 고려하면 부동산PF가 새마을금고의 독이 된 셈이다.
새마을금고가 그동안 ‘서민금융기관’이란 위치에도 지난 몇 년 동안 부동산PF를 급격히 늘린 영향이 컸다는 평가다.
▲ 새마을금고 전체대출에서 기업대출이 차지하는 비중 추이. 2021년까지는 새마을금고중앙회, 2022년부터는 행정안전부 자료 참조. |
새마을금고 전체 대출 가운데 기업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6월 말 기준 60%에 육박한다. 기업대출 비중은 2017년까지만 해도 10% 미만이었지만 최근 몇 년 사이 크게 늘어 절반을 훌쩍 넘었다.
행안부도 이를 고려해 2월 새마을금고 부문검사를 건전성과 서민금융 정체성 회복을 중심으로 실시한다며 “기업대출 비중이 절반 이상 수준으로 늘어난 문제를 바로잡고 새마을금고가 지역서민과 소상공인을 위한 서민금융기관 본연의 역할을 다하도록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김인 새마을금고 중앙회장이 풀어야 하는 부동산PF 부실 정리가 전체 새마을금고의 사업포트폴리오 재편 및 서민금융기관으로서 정체성 회복과 맞물려 있는 셈이다.
김 회장도 이같은 중요성을 인지하고 여러 차례 서민금융기관 본연의 역할을 다하겠다는 뜻을 내놨다. 지난해 12월 취임 직후에는 “막중한 책임감으로 혁신하고 국민신뢰를 회복해 진정한 서민금융기관으로 거듭나도록 각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장기적으로 부동산PF를 줄이고 가계대출을 늘려 새마을금고의 원래 역할을 회복한다는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
새마을금고중앙회 관계자는 “장기적으로 가계대출을 늘려 서민금융기관으로서 본연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서민 가계대출 위주로 활성화를 하고 변화하는 과정에 놓여 있다”고 설명했다. 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