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시장과머니  부동산

전국 표준지 공시지가 내년 1.1% 올라, 신세계 이명희 9년째 단독주택 1위

박혜린 기자 phl@businesspost.co.kr 2023-12-20 09:14:01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전국 토지가격 기준인 표준지 공시지가가 내년 1.1% 오른다. 최근 10년 사이 가장 변동률이 작다. 

국토교통부는 2024년 1월1일 기준으로 조사·산정한 표준지 58만 필지, 표준주택 25만 호 공시가격에 관한 소유자 열람 및 의견청취 절차를 12월20일부터 내년 1월8일까지 진행한다고 20일 밝혔다.
 
전국 표준지 공시지가 내년 1.1% 올라, 신세계 <a href='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145523' class='human_link' style='text-decoration:underline' target='_blank'>이명희</a> 9년째 단독주택 1위
▲ 21년째 전국 표준지 공시지가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서울 중구 명동 네이처리퍼블릭 명동월드점 모습. <연합뉴스>

2024년 공시가격은 표준지 65.5%, 표준주택 53.6% 등 2020년 수준의 현실화율을 적용해 산정됐다.

내년도 전국 표준지 공시지가는 올해와 비교해 1.1% 상승한다. 시도별로 보면 세종시 표준지 공시지가가 1.59%, 경기 1.35%, 대전 1.24%, 서울 1.21%, 광주 1.16%가 올라 상승률 상위 5곳 안에 들었다.

부산 공시지가는 0.53%, 전남 0.36%, 울산과 전북은 각각 0.21% 오르고 제주는 내년 표준지 공시지가가 0.45% 내린다.

전국에서 가장 비싼 표준지는 서울 중구 충무로1가에 있는 명동 네이처리퍼블릭 부지다. 

네이처리퍼블릭 부지의 내년 공시지가는 약 297억 원이다. 2004년 이후 21년째 전국 최고 땅값을 유지하고 있다.

네이처리퍼블릭 부지 1m²당 공시지가는 1억7540만 원으로 2023년(1억7410만 원)과 비교해 0.7% 올랐다. 

단독주택 공시가격 산정기준인 전국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은 0.57% 상승한다. 2005년 주택공시제도를 도입한 뒤 가장 변동률이 작다.

시도별로는 서울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 상승률이 1.17%로 가장 높았다. 이어 경기(1.05%), 세종(0.91%), 광주(0.79%), 인천(0.58%)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제주는 공시가격이 0.74%, 경남은 0.66%, 울산은 0.63%, 대구는 0.49%, 부산은 0.47% 내린다.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이 가장 비싼 곳은 서울 용산구 한남동에 있는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의 단독주택이다. 2016년 뒤 9년째 공시가격 1위를 지키고 있다.

이 회장 자택의 공시가격은 2024년 285억7천만 원으로 올해(280억3천만 원)보다 1.9% 올랐다. 

2위는 이해욱 DL그룹 회장의 강남구 삼성동 주택이다. 이 회장의 삼성동 자택 공시가격은 올해 182억 원에서 2024년 186억5천만 원으로 2.5% 오른다.

3위는 용산구 이태원동에 위치한 삼성그룹 영빈관 승지원(171억7천만 원), 4위는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의 용산구 이태원동 주택(167억5천만 원)이다.

표준지 공시지가와 표준주택 공시가격은 20일부터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홈페이지와 해당 포준지 및 표준주택이 소재한 시·군·구청 민원실에서 열람할 수 있다. 소유자 및 지자체 의견청취와 중앙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심의를 거쳐 2024년 1월25일 공시한다. 박혜린 기자

최신기사

북한 비트코인 보유량 세계 3위? 해킹 이후 1.6조 원어치 보유 주장 나와
OECD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 대폭 하향, 2.1%에서 1.5%로 0.6%p 내려
서울의대 교수 4인 '복귀 반대' 전공의 비판, "내 가족이 이들에게 치료받을까 두렵다"
차기 저축은행중앙회장 후보에 오화경 정진수 등록, 모두 업계 출신으로 관료 없어
유뱅크 컨소시엄 '제4인터넷뱅크' 신청 연기, "하반기 예비인가 신청 추진"
상상인증권 "현대백화점, 지누스 턴어라운드에 백화점과 면세점 본업 개선"
'미국 조류독감 리스크' GC녹십자 mRNA 독감 백신 어디까지 왔나?
맘스터치 해외 출점 '공격적', 기업가치 끌어올려 '성공 엑시트' 노린다
코스피 기관·외국인 쌍끌이 매수세에 2610선 회복, 코스닥도 740선 상승
엔비디아 지난해 세계 반도체 설계 시장 50% 차지, 매출 125% 급성장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