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바이오·제약

HLB 계열사 베리스모, 미국 펜실베이니아대와 세포치료제 제조 협업

임한솔 기자 limhs@businesspost.co.kr 2023-06-14 09:06:55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비즈니스포스트] HLB(에이치엘비)그룹 미국 계열사 베리스모테라퓨틱스가 펜실베이니아대학교를 통해 임상에 필요한 세포치료제를 제조하기로 했다.

현지시각 13일 베리스모테라퓨틱스는 펜실베이니아대와 파트너십을 확장해 대학의 임상 세포 및 백신 생산시설(CVPF)에서 세포치료제 ‘SynKIR-110’의 임상1상 물질을 생산한다고 밝혔다.
 
HLB 계열사 베리스모, 미국 펜실베이니아대와 세포치료제 제조 협업
▲ HLB 계열사 베리스모테라퓨틱스가 미국 펜실베이니아대와 세포치료제 제조에 관해 협력한다.

베리스모테라퓨틱스와 펜실베이니아대는 파트너십을 통해 SynKIR-110을 실험실 단계에서 임상1상 환자용으로 변환하도록 협력한다.

브라이언 김 베리스모테라퓨틱스 CEO는 “CVPF와 협력해 첫 인간 임상을 위한 SynKIR-110을 제조하게 돼 기쁘다”며 “CVPF는 최초로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유전자조작 세포 제품 등 최첨단 세포치료제를 생산한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고 말했다.

SynKIR-110는 베리스모테라퓨틱스의 플랫폼기술 ‘KIR-CAR-T’를 기반으로 개발된 키메릭항원수용체-T세포(CAR-T) 치료제다. 기존 CAR-T 치료제와 달리 혈액암뿐 아니라 각종 고형암에도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베리스모테라퓨틱스는 지난해 9월 FDA로부터 SynKIR-110 임상1상을 승인받은 뒤 올해 5월 임상에 들어갔다. 암세포 표면 단백질 메소텔린이 과발현된 난소암과 중피종, 담관암 등 적응증 3개를 대상으로 SynKIR-110의 안전성, 내성, 예비 효능을 평가하기로 했다. 임한솔 기자

최신기사

포스코, 중국 칭산그룹과 인도네시아에 스테인리스강 합작공장 설립 검토
정부조직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검찰청 폐지하고 수사와 기소 분리
정부, 2035년 산업부문 온실가스 '최소 21% 최대 30% 이상' 감축 검토
일본 총리 이시바 한일 정상회담 위해 방한, 부산에서 9월30일부터 10월1일까지
금감원장 이찬진과 대통령실 정책실장 김용범 아들, 미래에셋자산운용 근무
[26일 오!정말] 민주당 정청래 "검찰청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두산 지주회사에서 제외, 공정거래법 '자회사 지분가치 50%' 요건 불충족
이해진 네이버 경영 복귀 반 년 만 승부수, 두나무 인수로 금융 퍼즐 완성하나
코스피 '미국 금리인하 기대 약화'에 3380선 급락, 원/달러 환율 1412.4원 급등
"AI 열풍이 미국 재생에너지 발전 주도" 전망, 트럼프 정책 불이익 영향 만회
Cjournal

댓글 (1)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
김진용
하는것이나 제대로 하고 제발 뻥 치지마라..주주들 가슴에 피멍 들고 있다..IR 한답시고 주가나 작살내고 이노무 회사나 그룹사들에 근무하는 인간들은 생각이 없나   (2023-06-14 15:3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