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희경 기자 huiky@businesspost.co.kr2023-01-01 06:00:00
확대축소
공유하기
[비즈니스포스트] 2022년 주식시장은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한 긴축정책의 영향으로 어려운 한 해를 보냈다.
2023년도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로 여전히 비관적 전망이 우세하다. 다만 주식시장의 특성상 2024년 실적을 주가에 선반영하며 하반기에는 증시가 반등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 1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국내 증시는 상반기까지 증시가 하락추세를 이어간 뒤 하반기로 갈수록 증시가 나아지는 ‘상저하고’의 모습을 보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022년 한 해 동안 코스피 수익률은 24.90% 하락하며 주요 20개국(G20) 가운데 수익률 기준 최하위권을 차지했다.
코스피와 코스닥의 합산 시가총액은 1년 동안 모두 567조 원이나 증발했다. 증시 악화에 따라 일평균 거래대금은 2021년보다 41.6% 감소하는 등 투자자들의 이탈도 가속화됐다.
올해 주식시장은 어떻게 전개될까.
증권가에서는 경제환경의 어려움이 지속되며 증시에 부정적 영향이 나타날 우려가 나오고 있지만 반등을 기대하는 전망도 나온다.
구체적으로는 상반기 중 한국은행이 금리인상을 종료할 것으로 예상되고 지난해 국내 증시 수익률이 역대급으로 악화했던 만큼 반발매수세가 들어올 것이라는 이유를 들고 있다.
이에 따라 상반기까지는 증시가 하락추세를 이어가다가 하반기에는 갈수록 나아지는 ‘상저하고’의 모습을 보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노동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한 가지 위안할 점은 과거 경험상 국내 증시가 두 자릿수 하락세를 보인 이듬해 수익률은 비교적 높았다는 점이다”며 “세계 증시도 연간 수익률이 연속 하락한 사례는 정보기술(IT) 거품 때(2000~2002년)가 유일했다”고 설명했다.
노 연구원은 “내년 경기 저점 도달 후 통화정책 변화, 중국 경기 개선에 따른 회복 시점에서 기업실적 개선에 지수가 상승을 보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강대석 유안타증권 연구원도 “바닥에 근접한 지표들이 나와있고 글로벌 증시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국내 증시가 더 매력이 있다고 본다”며 “2022년 증시가 2023년 기업의 감익 우려를 반영한 것처럼 2023년 국내 증시는 2024년 이익사이클 턴어라운드에 대한 기대를 반영할 것이다”고 내다봤다.
이러한 증시의 움직임 속에서 특별히 주목해야 할 업종과 종목도 제시되고 있다.
올해 상반기에는 2년차에 들어선 새 정부의 지원이 기대되는 업종을 눈여겨 봐야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상반기 증시가 추가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정부 투자자금이 유입되면서 경기 둔화 속에서도 수요를 확보할 수 있는 업종을 선별해야한다는 것이다.
미래에셋증권은 정부 자금이 유입될 수 있는 업종으로 친환경 에너지와 방산업종을 제시했다.
김성근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친환경 에너지와 관련해 “유럽연합(EU)를 중심으로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친환경 에너지의 비중을 늘리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며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투자는 계속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에너지 안보는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가 에너지 수출을 무기화하면서 부각됐다. 지난해 러시아의 천연가스 수출중단에 따라 유럽 천연가스 가격이 급등하자 유럽은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비중을 늘리기 위한 지원을 지속하고 있다.
김성근 연구원은 방산업종을 두고 “경기에 관계없이 정부 지원을 직접적으로 받을 수 있는 국방 분야에 대해서도 긍정적 관점을 유지한다”며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축소 주장을 내고 있는 미국 공화당 의원들도 실제 공약에서는 대만 등을 염두에 두면서 국방비를 연간 단위로 3~5%씩 늘릴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NH투자증권도 정부 정책에 주목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김영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사이클 상으로도 국내 기업들의 이익 저점이 확인되지 않은 시기이기 때문에 기업 실적에 따른 주가 상승을 기대하기 어렵다”며 “거시적 경제환경의 어려움과 실적 관련 모멘텀의 부재 속에서 투자자들의 관심은 정책 테마로 쏠릴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김영환 연구원은 정부의 신성장 4.0 전략과 2023년 경제정책방향에 주목하며 스마트그리드, 미디어·콘텐츠, 해외수주(건설, 방산, 원전)분야 등의 업종을 제시했다.
정부는 지난해 12월21일 신성장 4.0 전략 추진계획을 발표하며 신성장 4.0 전략의 핵심으로 ‘디지털 기반 서비스업’ 진흥을 꼽은 바 있다.
해당 분야에 해당하는 프로젝트로는 △내 삶 속의 디지털 △차세대 물류 △탄소중립도시 △스마트농어업 △스마트그리드 등이 포함됐다. 정희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