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대형건설사들의 2022년 실적 추정치가 꾸준히 하락하고 있다.
대형건설사들은 높은 주택 브랜드 가치를 갖고 있어 새 정부의 도시정비사업 규제 완화에 따른 수혜가 예상됐다. 하지만 건설자재값 인상에 올해 실적 추정치가 꾸준히 하락하고 있다.
▲ 1일 서울 시내 시멘트공장에서 시멘트 수송을 위한 화물트럭과 열차가 주차돼 있다. <연합뉴스> |
12일 증권업계 분석을 종합하면 대형건설사들의 1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을 밑돌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대통령선거가 끝난 뒤 건설업종은 증권업계에서 크게 주목받았다. 새 정부에서 재건축 규제 완화 및 주택공급을 늘리는 정책을 펼칠 것이라는 기대가 높았기 때문이다.
더구나 대형건설사들은 견고한 주택 브랜드를 갖고 있어 도시정비사업에서 더 큰 성과를 낼 것이라는 게 시장의 일반적인 관측이었다.
하지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유연탄값이 급등하면서 시멘트업체들이 가격 인상을 예고하고 있다. 철근업계도 원자재인 철스크랩 가격 오름폭을 제품가격에 전가할 것으로 예상돼 원가율 상승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시멘트업계는 지난해 12월 시멘트 판매 협정가격을 1톤 당 7만8800원에서 9만3천 원으로 올리겠다고 통보했으며 이와 관련한 가격 협상을 올해 상반기 안에 마무리 짓겠다는 계획을 세워뒀다. 건설업계는 3분기부터 시멘트 가격 인상분이 반영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철근 가격도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1분기 철스크랩 평균 가격은 톤당 61만7천 원, 4월8일 기준 철스크랩 평균가격은 67만9천 원으로 집계됐다. 5월 철근 시세가 4월 평균 철스크랩 가격과 1분기 평균 철스크랩 가격 격차로 결정되는 점을 고려하면 4월보다 톤당 6만2천 원 더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이미 철강업계는 지난 2월 철근 가격을 톤당 3만1천 원 인상했다. 3월에도 2만6천 원을 더 올려 4월의 철근 기준가격은 104만 원이 됐다.
이 밖에 페인트업계도 최근 건축용 도료(페인트) 가격을 대리점을 대상으로 20% 정도 올려 건설업계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됐다.
이런 원자재값 인상은 업체와 직접 계약이 아닌 유통시장에서 건설자재를 조달하는 중소건설사에게 더욱 큰 영향을 끼친다. 하지만 이제는 대형건설사도 안심할 수 없다는 말이 나온다.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대형건설사들은 직접 시멘트사나 제강사와 계약을 맺어 시멘트, 레미콘, 철근 등을 안정적으로 확보해왔다”며 “하지만 최근 시멘트, 레미콘의 경우 건설현장에 들어오기로 한 날짜보다 하루, 이틀정도 밀리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대형건설사들은 건설자재 수급지연으로 공사기간이 영향을 받는 일은 아직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원가율 상승은 피할 수 없을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김승준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대부분의 대형건설사 주택사업부문을 보면 건설자재값 상승 영향에 따라 기존 이익률이 2%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추정된다”며 “기업별로 1분기부터 영향이 있는지, 2분기부터 영향이 있는지, 시점에 차이가 날 뿐이다”고 내다봤다.
일반적으로 대형건설사들의 주택부문 매출총이익률이 15% 안팎 수준임을 고려하면 2%포인트 원가율 상승은 적지 않은 규모다. GS건설은 1분기 영업이익률이 5%포인트 떨어진다는 분석도 일각에서 나왔다.
당장 1분기부터 원가 상승이 실적에 반영됐을 것으로 보인다.
송유림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1분기 실적 발표와 관련해 가장 큰 우려는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원가 영향이다”며 “앞으로 원자재 가격의 움직임이나 해외사업 등 일회성 비용 반영 여부에 따라 이익률 추정치가 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 에프앤가이드가 발표한 대형건설사의 2022년 영업이익 실적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의 평균값)의 변화를 살펴보면 국내 주택사업 비중이 큰 건설사들의 실적 추정치가 모두 내려간 것으로 집계됐다.
2021년 9월의 평균값과 2022년 4월의 평균값 비교하면 현대건설은 1조753억 원에서 9550억 원으로 1203억 원 줄었고, 대우건설은 9463억 원에서 9137억 원으로 326억 원 감소했다. GS건설은 9869억 원에서 8682억 원으로 1187억 원 줄었고, DL이앤씨는 9656억 원에서 9102억 원으로 554억 원 감소했다.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건설사뿐 아니라 정부에서도 급격한 원자재값 상승에 따른 건설자재 부족에 대응하고 있다”며 “건설공사에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류수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