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ournal
Cjournal
기업과산업  소비자·유통

케이옥션 미술품 사들이고 보관창고 늘리고, 도현순 경매시장 성장 대비

신재희 기자 JaeheeShin@businesspost.co.kr 2022-01-11 17:32:58
확대 축소
공유하기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네이버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유튜브 공유하기 url 공유하기 인쇄하기

도현순 케이옥션 대표이사가 미술품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케이옥션은 1월 말 상장을 앞두고 있는데 도 대표는 국내 미술품 경매시장의 급성장에 발맞춰 케이옥션의 경쟁력을 키우려 하고 있다.
 
케이옥션 미술품 사들이고 보관창고 늘리고, 도현순 경매시장 성장 대비
▲ 도현순 케이옥션 대표이사.

11일 케이옥션에 따르면 도 대표는 코스닥 상장을 통해 확보하는 자금을 미술품 매입, 신규 전시장 및 보관고 확보, 케이오피스(K-Office) 개선 등에 사용할 계획을 세웠다.

케이옥션은 상장을 통해 확보하는 자금 가운데 올해 말까지 약 50억 원을 투입해 부지 선정을 마무리 짓고 추가로 50억 원을 들여 2024년 상반기까지 신규 전시장 및 보관고를 확충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투자 자금 확보를 위한 상장 절차는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케이옥션은 6일과 7일 이틀간 국내외 기관투자자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한 결과 총 1745개 기관이 참여했다.

경쟁률은 1638.36대 1을 보였으며 공모가는 희망밴드(1만7000~2만원)의 최상단인 2만 원으로 확정했다.

이에 따라 총 공모금액은 320억 원, 상장 후 시가총액은 확정 공모가 기준 1782억 원으로 예상된다.

케이옥션은 지난해 12번의 메이저 경매와 26번의 프리미엄 온라인 경매, 52번의 위클리 온라인 경매를 열었는데 1회 경매에 약 200점의 작품이 필요한 만큼 이들을 위한 전시장이나 보관고가 부족한 상황을 겪은 것으로 알려졌다.

케이옥션은 현재 서울 강남구 본사 등 2곳의 전시관 및 2곳의 보관고를 운영하고 있다.

반면 경쟁업체인 서울옥션은 서울 종로구 본사 외에 강남센터, 부산센터 등의 전시장과 경기도 양주에 2곳, 서울 종로구 1곳 등에 대규모 보관고를 운영해 숫자와 규모에서 케이옥션에 앞서고 있다.

도 대표가 케이옥션의 미술품 수용능력을 확대하려는 것은 국내 미술품 경매시장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보기 때문이다.

한국미술시장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9년 국내 미술 경매 낙찰총액은 1544억 원 규모였는데 2021년 11월까지 누적 낙찰총액은 2968억 원으로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낙찰총액이 늘어났다는 것은 그만큼 경매시장에서의 거래가 활발해졌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미술품업계에서는 MZ세대(1980년대 초반~2000년대 초반 태생)의 미술품 경매시장 유입이 계속되며 앞으로 미술품 경매시장은 더욱 성장할 것으로 바라본다.

도 대표는 케이옥션이 국내 미술품 경매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서울옥션과 경쟁을 이어나가기 위해서는 적극적으로 투자를 늘려야 한다고 보고 지난해 12월 말부터 기업공개를 추진해왔다.

케이옥션과 서울옥션은 매해 낙찰총액에서 서로 엎치락뒤치락하고 있다.

2020년에는 케이옥션의 미술품 경매 낙찰총액이 506억 원으로 서울옥션(432억 원)을 앞섰지만 2021년에는 케이옥션의 낙찰총액이 1225억 원, 서울옥션은 1477억 원으로 순위가 뒤바뀌었다.

지난해 11월까지 진행된 미술품 경매에서 누적 낙찰금액 상위 10위까지 작품을 살펴보면 케이옥션은 마르크 샤갈의 'Les Jardins de Saint Paul'가 42억 원으로 2위를 기록한 것이 유일했다. 나머지 9개의 작품은 모두 서울옥션의 출품작이었다. 

도 대표로서는 케이옥션의 경매 출품작 확보에 힘을 쏟아야 하는 상황이 된 것이다.

케이옥션은 경매뿐 아니라 미술품의 직접 판매 역량도 강화한다.

케이옥션은 상장으로 조달한 자금 가운데 100억 원을 투입해 작품 확보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도 대표는 케이옥션의 자회사 아르떼네이티브를 통해 해외 주요 경매사 및 화랑과의 거래 네트워크를 확보하려고 한다.

또한 국내 신진작가들을 발굴해 작품을 안정적으로 확보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도 대표는 이밖에 미술품 유통관리 시스템 케이오피스(K-Office) 개선을 위해 40억 원의 자금을 투입하기로 결정했다.

도 대표는 1967년생으로 서울대 국제경제학과 학사를 졸업한 뒤 한국은행, 리만브라더스, 맥킨지 등 금융투자업계에서 경력을 쌓아왔다.

도 대표는 어머니이자 현대화랑의 창업주인 박명자 회장의 화랑 경영을 돕다가 2005년 케이옥션을 설립하는 데 주도적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2008년 세계금융위기 이후 미술시장이 침체를 맞은 상황에서 케이옥션이 휘청거리자 도 대표는 2011년부터 케이옥션의 전무를 맡으며 경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비즈니스포스트 신재희 기자]

최신기사

하나증권 "KT밀리의서재 통신사 해킹 반사수혜, 밸류 리레이팅 구간"
[전국지표조사] D-12일, 호감도 이재명 46% 김문수 33% 이준석 27%
[전국지표조사] D-12일, 차기 대선 놓고 정권교체 55% vs 정권재창출 34%
[전국지표조사] D-12일, 당선가능성 이재명 67% 김문수 23%
비트코인 시세 올해 21만 달러로 상승 가능성, "기관 투자자가 강세장 주도"
한은 '지분형 모기지 사업' 출자 공식 부인, 차규근 "가계부채 자극 우려"
구리와 중국산 광물 공급부족 장기화 가능성, "배터리 가격 50% 상승" 전망
도봉역 삼환도봉아파트 993 가구로 재건축, 용적률 규제완화 첫 사례
이재명 주거·의료·돌봄 포괄한 기본사회 공약 발표, "기본 튼튼한 나라 만들 것"
[리얼미터] D-12일, 양자대결 이재명 50.3% vs 김문수 43.5%
Cjournal

댓글 (0)

  • - 200자까지 쓰실 수 있습니다. (현재 0 byte / 최대 400byte)
  • - 저작권 등 다른 사람의 권리를 침해하거나 명예를 훼손하는 댓글은 관련 법률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 등 비하하는 단어가 내용에 포함되거나 인신공격성 글은 관리자의 판단에 의해 삭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