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계기업이 다시 살아날 확률은 높게 잡아도 36%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계기업은 재무구조가 부실해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이익으로 이자(금융비용)도 감당하지 못하는 기업을 말한다.
한국은행은 21일 ‘기업 재무상태 전환의 특징:한계기업 회생 중심으로’ 보고서를 통해 신규 한계기업의 회생률이 최소 15.0%, 최대 36.3%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은 “앞으로 우리 경제가 회복세에 접어들면 그동안 늘어난 한계기업의 구조조정도 본격화할 것으로 보고 구조조정 논의의 핵심 사항인 회생 가능성을 짚어보기 위해 이번 조사를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2003년부터 2009년 사이에 새로 한계기업(3년 이상 이자보상배율 1 미만·업력 10년 이상)이 된 기업들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한국은행은 한계기업들이 한계상태에 이른 뒤 5년, 6년, 7년, 8년, 9년, 10년 등 기준으로 나눠 추적하고 기간별로 평균 이자보상배율(영업이익/총이자비용)이 ‘1’이상 회복된 기업을 6개 그룹으로 나눴다.
6개 그룹에 모두 포함된 기업이 전체 신규 한계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회생률의 최저치(15.0%)로 한국은행은 정의했다. 가장 엄격한 기준에서 오랜 기간 이자보상배율 1 이상의 상태를 유지한 기업만 ‘회생’했다고 본 것이다.
반대로 6개 그룹에 한 번이라도 포함된 기업이 전체 신규 한계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회생률의 최고치(36.3%)로 잡았다.
한국은행은 2000년부터 2019년까지 한계기업들의 10년 동안의 상태 변화도 추적했다.
한계기업의 63.6%가 10년 안에 1회 이상 정상화되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 가운데 27.7%만 10년 뒤에도 정상 상태를 유지했다. 35.9%는 10년 뒤 다시 ‘재무취약’ 등 상태에 빠진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은행은 “일시적 성격의 정상화를 회생으로 간주하고 정상화 이후의 장기 상태 변화를 추적하지 않는 등 한계기업 회생에 대한 분석이 지금까지 미진했다”고 지적했다.
다만 코로나19 변수는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한국은행은 “코로나19로 새로 한계상태로 전환된 기업 가운데 상당수는 생산성, 경영능력 등 기업 특성 측면에서 과거 한계기업과 다를 수 있다는 점에도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차화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