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재해가 발생한 건설사는 물론 한동안 재해가 없었던 건설사들도 요즘 들어 안전 강화에 고삐를 죄고 있다.
내년에 시행할 중대재해기업처벌법의 시행령안이 만들어지면서 안전보건 전담조직의 의무화 규정이 생기는 등 안전 관련 규제가 계속 강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 서울 성북구의 한 아파트단지 건설현장. <연합뉴스> |
11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중대재해기업처벌법 시행령안을 살펴보면 상시근로자 수가 500명 이상인 사업장이나 시공능력평가 200위 안의 건설사는 안전보건 전담조직을 둬야 하는 등 안전관련 세부규정들이 강화돼 건설사들이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최근 중대재해가 있었던 건설사는 물론이고 2019년부터 중대재해가 발생하지 않았던 한화건설, 호반건설, 반도건설이나 2020년 이후 중대재해가 없는 한양 등 건설사들도 안전 강화를 위한 채비에 분주하다.
시공능력평가 11위의 한화건설은 올해 초 대표이사 직속 최고안전책임자(CSO) 직책을 신설하고 본사 안전관리팀의 활동폭을 넓혔다.
최광호 한화건설 대표이사 사장은 “2020년 모든 임직원과 현장 구성원들의 노력을 바탕으로 사망사고가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며“안전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이자 사회적 약속임을 명심하고 올해도 사망사고 제로(0)를 반드시 달성하겠다”고 다짐했다.
한화건설은 5월 '중대재해 제로(0) 선포식'을 열기도 했다.
고위험 작업에 스마트안전기술을 적용한 이동형 CCTV를 활용하고 현장에서 사고발생 및 위험상황이 예상됐을 때는 노동자 누구나 작업중지 요청 및 작업 거부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했다.
한화건설은 2017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현장 안전사진 공유시스템인 HS2E를 강화하고 현장 구성원들의 참여와 실천을 독려하고 있다.
이와 함께 사고가 많거나 안전보건시스템이 취약한 협력사는 안전보건 컨설팅을 등을 통해 자율안전관리 역량을 높이겠다는 방침도 세웠다.
호반건설은 지난해 연말부터 안전감시단 인원을 1.5배 증원했고 위험작업을 진행할 때 안전감시인력이 상주하도록 했다.
위험평가시스템인 HAPS를 적용하고 스타트업과 시스템 강화를 위한 협업도 진행하고 있으며 고위험작업이 진행되는 현장은 현장과 본사가 연계 모니터링하면서 집중 관리하고 있다.
반도건설은 최근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인증을 받기도 했다.
박현일 반도건설 대표이사 사장은 이번 인증을 통해 공사현장의 안전 사각지대를 찾아 해소하고 노동자가 안전하고 존중받는 현장이 될 수 있도록 체계적 안전보건활동과 재해 예방활동에 나선다는 계획을 내놨다.
박현일 사장은 안전보건 담당부서를 대표이사 직속부서로 개편하고 전담인원을 배치하는 등 안전보건경영시스템 도입에 적극적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화건설과 호반건설, 반도건설은 안전 강화에 적극적으로 나선 결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1년 하반기 건설업 자율안전컨설팅 대상업체에 선정되기도 했다.
한양은 5월 안전보건경영활동 통해 중대재해사고 2년 연속 제로(0)에 도전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이를 위해 노동자들의 스트레칭과 정리정돈, 현장 중심 안전회의, 안전 모니터링, 안전 보건 캠페인을 도입했다.
건설사들은 광주시 학동 재개발현장 철거건물 붕괴사고로 건설현장 안전관리가 주목되고 있어 서둘러 현장 안전강화에 나서고 있기도 하다.
건설사를 비롯한 재계는 중대재해기업처벌의 유예와 처벌 완화를 요구해 왔지만 광주 붕괴사고로 이런 주장을 이어가기는 어렵게 됐다.
다만 업계에서는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50위 이내 건설사에서만 안전보건 전담조직을 두도록 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기는 하다.
51~200위 건설사에서는 다른 업무와 겸직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실효성을 높일 수 있다며 현실적 여건을 감안해 규제를 완화해 달라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안정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