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실장은 한미 정상회담에서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대만문제가 언급된 것과 관련해 중국이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때와 같은 경제보복에 나설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 이렇게 대답했다.
그는 "중국은 지리적으로 인접해 있고 무역, 그리고 해외투자 면에서 매우 중요한 경제 협력 대상국"이라며 "한국은 중국과 상호 호혜적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는 점을 다시 확인해서 말씀드린다"고 덧붙였다.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구축에 관한 성과도 설명했다.
이 정책실장은 "한국을 백신 생산 허브로 만들자는 우리 구상과 미국의 입장이 일치한 결과"라며 "국내 생산 백신의 양을 늘리고 백신 관련 기술 수준을 높이면 중장기적으로 국내 방역능력 향상이나 대외 협상력 강화 등에 도움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그는 "모더나가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단순한 병입 작업만 맡겼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을 보고 놀랐다"며 "백신 원액을 들여와 완제품을 만드는 것은 결코 단순한 기술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 정책실장은 "갈수록 단순한 위탁생산을 넘어 라이선스나 직접투자 등의 분야에서 협력수준이 높아질 것이다"며 "그 과정에서 더 많은 권한이 우리에게 올 것이다"고 덧붙였다.
'우리 기업들이 44조 원 규모의 투자를 하는데 우리가 얻은 것이 적다'는 일각의 지적을 두고 이 정책실장은 "미국에 투자계획을 발표한 4개 큰 기업들에게 성과가 부족한 것인지 한 번 물어봤으면 좋겠다"며 "우리 기업이 국내시장에 의존하기에는 시장이 너무 작고 대기업 하나만 미국에 진출하면 많은 중소·중견기업이 동반진출하는 효과가 생긴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기업 투자는 철저하게 상업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며 "우리 기업이 미국의 시스템을, 미국 기업이 우리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고 덧붙였다.
이 정책실장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사면론을 두고는 "경제계나 종교계, 그 다음에 외국인 투자기업들로부터 그런 건의서를 받은 것은 사실이다"면서도 "사면은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국민적 정서라든지 공감대 등도 함께 고려해야 되기 때문에 별도 고려가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성보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