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는 우리금융지주 지분을 매각해 완전 민영화하겠다는 계획을 시작할 수 있을까?
금융당국이 국내 금융지주들에 배당성향을 줄여줄 것으로 권고하며 우리금융지주의 완전 민영화계획의 시행시기가 미뤄질 수 있다는 시선이 나온다.
28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27일 전체회의를 열고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은행 및 은행지주 자본관리 권고안'을 의결했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해 국내 은행지주회사와 은행에 배당성향을 20% 이하로 낮추라고 권고한 것인데 은행지주회사가 금융당국의 권고를 무시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2019년 은행지주회사별 배당성향을 살펴보면 우리금융지주 27.00%, KB금융지주 26.00%, 신한금융지주 25.97%, 하나금융지주 25.78% 등으로 올해 배당성향은 5~7%가량 줄어든다.
이날 금융위 발표가 나오자 은행금융지주 주가는 일제히 하락했다.
배당성향은 순이익에서 배당 총액이 차지하는 비중을 뜻하는데 대표적 배당주로 꼽히는 은행주의 배당매력이 축소됐기 때문이다.
코스피가 3000을 넘기는 등 주식시장이 활황을 맞고 있지만 은행금융지주 주가는 여전히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더 뼈아플 수 밖에 없다.
특히 우리금융지주는 주가 하락이 기업가치 외에도 완전 민영화계획 시기에도 영향을 미친다.
예금보험공사는 정부가 1998년 우리은행에 투입한 공적자금 잔여분으로 우리금융지주 지분 17.25%를 들고 있는데 2019년 우리금융지주 완전 민영화를 위해 보유지분을 매각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를 위해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에 걸쳐 지분을 분할해 팔기도 했지만 지난해 한 차례도 매각하지 못했다.
우리금융지주 주가가 공적자금 원금을 회수할 수 있는 수준에 미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에 예금보험공사가 들고 있는 지분의 매각을 추진하는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2021년부터라도 지분 매각에 나서겠다는 방침을 지난해 말 내놨지만 올해 상반기에도 계획 시행이 어려워 보인다.
2020년 기준으로 정부가 공적자금 원금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우리금융지주 주가가 1만2300원 수준으로 회복돼야 할 것으로 추산됐다. 우리금융지주 주가는 28일 9100원에 장을 마쳤다.
공적자금 원금 회수를 위한 주가 수준과 실제 주가 사이에 괴리가 좀처럼 좁혀지지 않고 있다.
게다가 공적자금 원금 회수를 위한 주가 수준은 배당에 따라 낮아질 수 있는데 올해 배당성향이 축소되면 이런 효과도 보기 힘들어진다.
정부는 2019년 6월 우리금융지주 매각계획을 내놓으며 우리금융지주 주가가 주당 1만3800원 수준이면 원금 회수가 가능하다고 추산했다. 이후 2020년에는 원금 회수를 위한 적정 주가를 다시 1만2300원 수준으로 낮췄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가 배당금 지급분을 원금 회수분으로 계산하기 때문이다. 올해 배당금이 지난해와 같은 수준으로 지급돼 우리금융지주 주가가 1만 원대만 유지해도 원금회수가 가능한 셈이다.
우리금융지주는 일단 외부 요건을 변경하기 어려운 만큼 자체적으로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힘을 쏟을 수밖에 없다.
올해는 증권사, 보험사 등 비은행 실적을 크게 늘릴 수 있는 대형 비은행 계열사 인수합병에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계획을 세워뒀다.
주가부양 의지를 시장에 보여주는 자사주 매입도 꾸준히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대표이사 회장은 2020년 한 해 동안 5천 주씩 다섯 차례에 걸쳐 자사주를 사들이는 등 4대 금융지주 회장 가운데 가장 적극적이다.
우리금융그룹 경영진들도 7일 기업가치와 주주가치를 높이기 위해 약 7만5천 주의 우리금융지주 주식을 매입했다.
우리금융지주 관계자는 "손 회장뿐 아니라 우리금융그룹 임직원들 모두 기업가치 제고에 확신을 품어 자사주 매입에 동참하고 있다"며 "올해도 비은행부문 강화 등 수익성 개선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윤종학 기자]